증권
급락했던 나스닥, 0.76%↑ 회복…은행 자본규제 완화 종료에 금융주 타격
입력 2021-03-20 06:50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은행 자본규제 완화 종료 결정 등으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자본규제 완화 프로그램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하자 뉴욕증시가 혼란에 빠졌다. 연준이 장기간 저금리 방침을 재확인 했으나 국채 시장의 불안과 바이든 정부와 중국의 첫 정상회담이 순탄하지 않았다는 점은 증시를 압박하고 있다.
19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4.33포인트(0.71%) 하락한 3만2627.97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36포인트(0.06%) 내린 3913.10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9.07포인트(0.76%) 상승한 1만3215.24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다우지수는 0.5%가량 내렸다. S&P500 지수와 나스닥은 약 0.8%씩 하락했다.

시장은 미 금리 동향과 은행 자본규제 완화조치 종료, 미·중 고위급 회담 등을 주시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을 두고 시장이 연준과 맞서는 양상이다. 연준의 공언과 달리 물가가 지속 상승할 것이란 우려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연준이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완화 조치를 예정대로 오는 31일 종료한다고 밝힌 점도 불안감을 더했다.
SLR 완화 조치는 은행이 보유한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필요 자기자본 산출 대상에서 제외해 주는 것으로, 종료될 경우 은행이 비용 부담으로 국채를 내다 팔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연분의 발표 이후 미 국채 10년 물 금리는 장 초반 1.7% 아래로 내려갔으나 이내 1.74% 부근으로 다시 오르기도 했다.
증시에는 은행 주가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JP모건 주가는 약 1.6%,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 주가는 1%가량 하락했다. 또 비자카드가 법무부의 반경쟁 행위 조사 소식으로 6.2% 넘게 급락하며 다우지수에 부담을 줬다.
다만 은행들이 완화 조치 종료에 대비해 온 만큼 채권 수급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분석도 힘을 얻으면서 금리는 상승 폭을 다소 줄였다. 증시 마감 무렵에는 10년물 금리가 1.72%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과 중국이 첫 고위급 회담에서 갈등을 표출한 점도 증시에는 부담이다. 알래스카에서 전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시작된 회담에서 양국은 초반부터 독설을 주고받으며 대립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금리 불안 속에 증시의 불확실성도 커졌다고 토로했다.
보스턴 파트너스의 마이클 멀레이 글로벌 시장 연구 담당 이사는 "최근 일주일간 하루하루의 주가 패턴을 보면 핑퐁 게임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하루는 성장주였다가 하루는 가치주인 식인데, 이것이 우리가 성장이 회복될 수 있는 어떤 변곡점에 있다는 신호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2.2%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92% 하락한 20.95를 기록했다.
[김규리 매경닷컴 기자 wizkim61@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