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시가 인상 여파?…서울 매물 줄고·가격 상승폭 둔화
입력 2021-03-19 10:54 
서울 용산구의 한 중개업소 모습 [사진 = 이충우 기자]

정부의 2·4 공급대책 영향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공시가격 급등 여파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6주 연속 둔화했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셋째 주(15일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올라 지난주(0.24%)보다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은 2·4 대책 발표 직전 0.10%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폭이 둔화하고 있다.
다만,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과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중저가 단지 위주의 경우 상승세를 유지했다. 재건축 추진 단지가 많은 양천구의 경우 4주 연속 0.11%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강남 3구(서초 0.09%, 강남·송파 0.08%)와 노원구(0.10%), 동작구(0.08%), 마포·관악·도봉구(0.07%) 등지도 평균 이상으로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2·4 대책으로 인한 물량 확대 기대감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감소하고 가격 상승 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며 "특히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전국 평균 20% 가깝게 급등하면서 매수 심리도 함께 꺾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0.16%에서 이번 주 0.15%로 상승폭이 줄은 가운데 서울도 0.06%에서 0.05%로 상승률이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 6월 첫째 주(0.04%) 이후 9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폭이다.
노원·성북·성동구(0.09%), 중랑구(0.08%) 등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낮은 지역이 많이 오른 반면, 강남(0.01%), 서초·송파구(0.02%) 등 고가 전세가 많은 지역은 매물이 쌓이며 상승폭이 줄었다.
공시가 급등으로 보유세가 늘면서 아파트 매물도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파트실거래가(아실)의 자료를 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4만5722건으로 한 달 전(3만9864건)보다 14.7% 늘었다. 보유세 산정 기준일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시행되는 6월 1일 이전에 처분하려는 다주택자가 늘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주택자가 1년 미만 보유한 주택 양도세율은 기존 40%에서 70%로 30%포인트 오른다. 2년 미만 보유 주택에는 과거 기본세율을 적용했지만, 60%의 단일세율이 적용된다. 또한 6월 이후 매도하는 2주택자에는 20%포인트, 3주택자는 30%포인트를 기본 양도세율에 추가, 최고 72%의 양도세가 부과된다.
일각에선 다주택자들 상당수가 주택을 매각했거나 증여해 시장에 나올 매물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는 분석도 있다. 우병탁 신한은행 세무팀장은 "다주택자들은 세율인상과 세금 부담 상한에 더 집중해 왔기 때문에 일부는 증여 등으로 정리한 상황"이라며 "서울 등 주요 지역에서 매물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정성진 어반에셋매니지먼트 대표도 "3월말~4월말 세 부담을 피부로 느끼는 일부 다주택자의 절세용 급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증여나 매매를 통해 이미 매물을 정리한 다주택자가 상당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시장이 출렁일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robgu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