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한국 국채금리 높다…외자 이탈 가능성 낮아"
입력 2021-03-15 10:33  | 수정 2021-03-22 11:05

우리나라의 국채금리가 동일 신용등급 국가보다 높아 외국인 자금이 급격히 이탈할 가능성이 작다고 정부가 판단했습니다.

디지털과 그린뉴딜 등 신산업 분야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자 상반기 중 첨단 외국인 투자유치 로드맵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오늘(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대외분야 실물·금융 부문 동향점검 및 대응 방향을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외국인 자금 유출입 상황과 외화 유동성이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미 국채 금리 상승 등 불확실성 요인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 국채 금리 등 국제금융시장 여건 변화가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본 것입니다.

다만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이탈을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봤습니다.

이런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단기투자자의 자금은 유출될 수 있으나 중앙은행·국부펀드 등 중장기 투자자는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투자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고,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은 물론, 동일 신용등급 국가보다 국채금리가 높아 급격한 이탈 가능성이 작다고 봤습니다.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는 차원에서 상반기 중 정부 차원의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솔루션 등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수소 등 그린뉴딜 등 신산업 분야에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핵심 프로젝트에 대해선 설명회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 직접투자는 207억5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1% 감소한 바 있습니다. 전 세계 직접투자가 43% 감소하는 상황에서 비교적 양호한 성과를 낸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도 지난해 549억1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4.6% 감소했습니다.

해외수주는 지난해 351억 달러로 최근 5년간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