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8만원 '가득' 휘발유 값 이젠 9만원도 넘어"…물가 오름세 커지나
입력 2021-03-11 12:02 
[자료 제공 = 한국은행]

"두달 전 주유소에서 기름을 가득 넣으면 8만원 정도했는데... 지금은 9만원이 훌쩍 넘어요."
한국은행이 일각에서 제기하는 급격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확대 우려에 대해 '제한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은은 11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급격한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같은 수요가 아닌 공급요인에 따른 영향으로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확대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장기 인플레 전망 엇갈려…일시적 상승은 일치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에 따라 경기개선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최근 금융시장에서 예상하는 기대인플레이션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향후 1년)이 상승하면서 향후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이후 억눌렸던 수요의 분출, 기저효과 등으로 단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견해가 일치하지만 중장기적 인플레이션 향방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규모 재정지출과 이에 따른 유동성 증대, 무역갈등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약화 등이 상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인플레이션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다른 관점에서는 안정적인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에 대한 중앙은행의 대응수단 보유, 고용부진 지속 등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지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에 따른 빠른 경기회복, 경제활동 정상화와 함께 그간 억눌린 수요의 분출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데는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한은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같은 공급 충격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향후 추이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진 제공 = 한국은행]
◆ 국제 유가 상승, 대다수 국가 소비자물가 상승률 높이는 요인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에너지 가격이 일본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일본은 2019년 10월 소비세 인상(8→10%)에 따른 효과가 지난해 10월부터 사라진 가운데 국제유가의 전기·가스요금에 대한 파급 시차가 여타 주요국에 비해 길게 나타나면서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5월 대비 여전히 물가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2~5월 11.8% 하락했다가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4.9% 반등했다.
식료품을 보면 주요국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 중 상반기에 비해 하락하거나 상승폭이 축소됐다. 코로나19 확산 직후 이동제한 조치로 인한 가정용 식재료 수요 증가, 물류차질에 따른 공급 감소 등 상방압력으로 작용했던 요인의 영향이 완화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식료품 가격 상승은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여건 악화,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의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며 물가상승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서비스 물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약한 수요측 물가 압력이 이어지면서 낮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은 호텔, 항공 등 대면 서비스 관련 물가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일부 국가에서 코로나19 충격 완화를 위해 시행한 정부정책은 서비스 물가에 대한 추가적인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동통신요금을 지원한 한국, 한시적으로 부가가치세를 인하한 독일, 음식점 가격을 보조한 영국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최근 인플레이션 상황은 수요와 공급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코로나19로 억눌린 소비가 분출하고, 원자재 가격 반등과 같은 물가에 상방압력 요인이 있기 때문에 유의해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cap@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