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만기연장·이자유예 130조 넘어섰는데 정부는 "문제없다"
입력 2021-03-10 17:56  | 수정 2021-03-10 20:26
◆ 코로나 1년 '묻지마 대출' 청구서 ◆
코로나19 사태로 대규모 금융 지원이 쏟아지면서 부실이 이연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 3월까지 1년간 대출 만기 연장 등으로 지원된 금액은 무려 13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만기 연장 121조1602억원, 원금 상환 유예 9조317억원, 이자 상환 유예 1637억원 등 총 130조6409억원에 이른다. 이에 대해 금융권은 대출 만기 연장, 특히 이자 상환 유예는 잠재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금융당국이 최근 대출 만기 등 조치 시한을 올 3월에서 9월로 6개월 연장하면서 조치 종료 후 대출 상환 방식과 기간을 차주가 결정할 수 있다고 했지만 경제 상황 변화 등 부실 요인들은 언제든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자도 못 내는 차주라면 부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이 부실 우려를 부인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부실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하지만 금융당국 관계자는 "만기 연장 등의 지원 대상은 코로나19로 일시적 자금 부족이 발생한 기업"이라며 "이 기업들은 코로나19가 진정되면 원리금을 되갚아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좀비기업으로 단정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금융회사들 역시 유예 기간 중 카드 사용액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부실 징후를 상시 모니터링하면서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는 등 재무적 대응 여력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안일하게 금융 부실에 대한 낙관론을 펼치기보다는 엄밀한 부실 관리책을 가동해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1997년 외환위기도 부실이 한꺼번에 터지면서 발생했다"며 "금융당국은 원금이나 이자도 못 내는 좀비기업들을 구조조정하는 등 사전에 부실 관리를 엄중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원섭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