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강창일 대사 "한일관계 최악 실감"
입력 2021-03-10 16:42 

강창일 주일 한국대사가 '한일 관계가 최악'이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고 한국 정부가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전달했으니 일본이 화답할 차례라는 뜻을 10일 밝혔다. 주일 대사관 고위 관계자는 한국내에서 친일프레임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데 대해 '옳지 않다'는 입장을 밝히고 위안부·징용 피해자 보상을 둘러싼 한·일갈등에 대해서는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면서도 한국 정부가 정치적 해결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강 대사는 이날 도쿄의 한국 대사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국에서는 한일관계가 최악이라는 것을 피부로 느끼지 못했는 데 일본에 오니 실감하게 됐다"며 "하지만 자민당 등에 부임 인사를 가니 따뜻하게 대해줘 (한일 관계개선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22일 부임한 강 대사는 2주 자가격리 후 지난달 12일 아키바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면담하는 것으로 공식 대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집권 자민당의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 연립 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 등 정계 주요 인사와 면담했다.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과의 면담은 아직 성사되지 않았다.
강 대사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3·1절 기념사를 통해 우리 정부는 생산적이고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구축해 나가려고 하며 일본과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메시지를 전달했다"며 "일본 정부가 우리 메시지에 긍정적으로 화답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동일본 대지진 발생 10주년을 맞아 이른 시일내에 대사관 직원들과 피해지역을 방문해 아픔을 나누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편 이날 주일 대사관의 고위관계자는 국내 정치권 일각에서 친일프레임과 반일감정 등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입장을 묻자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친일이나 반일프레임 자체를 거부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위안부·징용 피해자 판결과 관련해 사법부의 판단은 판단이고 정부가 할 일은 정치적 해결책을 찾는 것"이라며 "일본측이 구체적 대안을 요구하고 있지만, 대화의 테이블에 앉으면 좋은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반일주의자라고 오해하는 데 결코 반일주의자가 아니다"라며 "문 대통령이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고 말했지만, 정치적 해결을 언급하지 않아 오해도 있었고 참모들이 정치적 해법을 준비해야 하는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의용 외교부장관과 모테기 외무상의 전화통화를 요청했지만, 일본측에서 아직 답변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위안부 문제의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를 주장한 것에 대해 "그것도 하나의 방안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며 "피해 당사자가 말씀하셨기 때문에 (정부에서)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도쿄 = 김규식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