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당국, '백신 비싸게 샀다' 지적에 "타국과 단순비교 어려워"
입력 2021-03-10 15:45  | 수정 2021-03-17 16:05

방역당국이 우리 정부가 다른 국가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더 비싸게 샀다는 지적에 대해 "다른 나라와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오늘(10일) "백신 구매 계약에는 구체적인 백신 종류와 물량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백신구매 비용) 3조8천억 원은 환율과 백신 물량으로 인한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방대본은 구체적으로 "3조8천억 원은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해 환율이 고려됐고, 또 여기에는 '코백스 퍼실리티'(백신 공동구매 국제프로젝트)를 통해 공급받는 물량 2천만 회분도 포함돼 있다"면서 환율과 코백스 물량에 따른 변동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도 추가경정예산안 사업설명 자료'에 따르면 국민 7천900만 명이 접종할 수 있는 총 1억5천200만 회분의 백신 구매 비용은 3조8천67억 원으로, 백신 1도스(1도스는 1회 접종분)의 평균 단가는 2만5천44원(약 22달러)입니다.


방대본은 제약사들과의 계약상 비밀유지 의무에 따라 다른 나라의 백신 구매 비용을 알지 못한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방대본은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계약 가격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비밀 유지 조항으로 다른 나라의 가격을 소상히 알지는 못하지만, 백신 구매량이나 구매가격 등 국가별 변수는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유럽 국가는 인구수의 2배, 많게는 3∼4배 이상 대규모로 백신을 구매했고 결과적으로는 접종하지 못하고 남는 물량이 많아질 것"이라며 "그 경우 인구 1인당 구매 비용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방대본은 이어 "접종 인구수와 함께 특정 백신 외에 5가지 플랫폼을 고려하는 등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했다"며 "백신 가격에 대해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