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LH직원 집에 '개발지도'…업계 "수용범위 알고 위치 확인했을 듯"
입력 2021-03-10 14:16 
LH 직원들의 광명·시흥 신도시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지난 9일 LH 직원 매수 의심 토지인 시흥시 과림동 현장에 묘목이 식재돼 있다.[사진 출처 = 김정은 기자]

광명 시흥지구 내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 중 일부가 자택에서 토지개발 지도를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 9일 오전 9시 반부터 10시간 동안 경남 진주시 LH 본사와 경기 과천의왕사업본부, 광명시흥사업본부 등 16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또 경찰은 3기 신도시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LH 직원 13명을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이들의 주거지와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일부 직원의 자택에서 토지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토지개발 지도를 확보했다. 땅 투기 의혹을 받는 LH 직원 중 일부 자택에서 발견된 토지 개발 지도는 공인중개사 사무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인중개사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토지 개발 지도는 일반인도 온라인에서 구매 가능하다.
경찰은 이들이 토지수용 범위를 먼저 알고 토지 개발 지도를 통해 위치를 확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흥시 한 공인중개업자는 "바쁜 손님들은 매번 부동산에 올 수 없으니까 실질적인 구매자라고 판단이 되면 부동산에서 지번을 알려주고 손님이 직접 자신이 원하는 땅이 수용범위에 들어가는지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며 "그럴 때는 손님이 토지 개발 지도를 온라인 등에서 직접 구매 한다"고 말했다.
이어 "땅 투기를 한 LH 직원 중 일부 직원의 집에서 토지 개발 지도가 발견됐다면, 토지 수용 범위를 미리 알고 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토지 개발 지도로 투기 계획을 세웠을 가능성을 염두하고 입수 경위 등을 조사 중이다. LH 관계자는 일부 직원의 지도 입수 경위에 대해 "저희도 직원 개인들이 토지 개발 지도를 어떻게 입수했는지 확인이 안 된다"며 "회사에서 토지 개발 관련 지도를 나눠주거나 하는 일은 없다"고 밝혔다.
[김정은 매경닷컴 기자 1derlan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