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찰 'LH 투기' 차명거래 집중 조사…연루자 자금흐름 추적
입력 2021-03-10 11:06  | 수정 2021-03-17 12:05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등의 3기 신도시 투기 의혹과 관련해 차명거래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오늘(10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전날 경남 진주 LH 본사와 투기 의혹이 불거진 직원 13명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해 입수한 자료를 분석하면서 투기 연루자들의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LH 직원이나 자치단체 공무원이 차명계좌(속칭 대포통장)를 이용해 투기에 나섰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야 의원들도 전날 국회 국토교통위 현안 질의에서 "본인 명의의 투기는 없을 것"이라며 차명거래 조사를 촉구한 바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처럼 돈 문제가 중심에 있는 사건은 차명거래 수사가 기본"이라며 "휴대전화 통화 내용과 내부 메신저 등을 분석해 피의자들이 개발정보를 알고 땅을 취득했는지 여부와 입출금 내역 등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정세균 국무총리의 지시에 따라 수혈받게 된 국세청·금융위 인력이 차명거래 수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경찰 관계자는 "노태우·노무현 정부 당시 1·2기 신도시 수사 때도 국세청이 큰 역할을 했다"며 "국세청은 법원 영장 없이도 돈의 흐름을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에 수사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경찰은 전날 국세청·금융위 등과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를 구성했습니다. 경찰은 국세청 직원 20∼30명, 금융위 직원 3∼5명을 지원받아 이 사건을 맡은 경기남부·경기북부·인천경찰청 등에 파견키로 하고 관계 기관과 최종 조율 중입니다.

국세청은 이 사건 이전부터 '지하경제 양성화'를 중점 추진과제로 삼아 차명계좌를 이용한 탈세를 집중 단속해왔습니다.

특히 경찰은 이번 사건 수사에 자신감을 보입니다.

경찰 고위 관계자는 "수사하기 어려운 사건은 아니다"며 "문제는 강제수사의 무기라고 할 수 있는 영장인데, 경찰이 신청하는 영장을 검찰이 제때 청구해주기만 하면 원활히 수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 총리도 이날 검경 지휘부를 불러 이번 사건과 관련한 협력 방안을 주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두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국수본 고위 관계자는 전날 대검찰청 관계자와 통화에서 수사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전날 압수수색을 단행한 경기남부경찰청은 LH 직원 자택에서 투기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토지 개발 관련 지도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자료의 출처 및 투기 관련성을 수사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