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 견제' 쿼드, 12일 첫 정상회담…미·일·인도·호주 참여
입력 2021-03-10 08:23  | 수정 2021-03-17 09:05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구성된 미국·일본·인도·호주의 협의체 '쿼드'(Quad)가 현지시간으로 12일 화상으로 첫 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백악관이 공식 확인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오늘(9일) 브리핑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12일 오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등 쿼드 카운터파트들과 화상으로 만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쿼드를) 그의 조기 개최 다자회의 중 하나로 마련했다는 사실은 우리가 인도태평양에서 동맹과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에 두고 있는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쿼드는 실무 및 외교장관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회의를 했지만 12일은 정상 차원의 첫 회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위협부터 경제협력, 기후위기 등 국제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사안들이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도 외교부 역시 성명을 내고 "4개국 정상이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한 공통의 관심사를 논의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포괄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을 유지하기 위한 실질 협력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쿼드 4개국의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들 국가 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저지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결과로도 해석됩니다.

백악관이 쿼드 정상회의의 의제와 관련해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이번 쿼드 정상회의에서 4개국이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어떤 공동대응 방안을 도출해낼지가 관심사입니다.

쿼드 확대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인 1월 29일 쿼드를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공개 발언한 바 있는데 한국 등을 포함한 '쿼드 플러스'로 구체화할지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쿼드 참여국은 인도·태평양에 위치한 국가로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나머지 3국의 중국 부상에 대한 우려가 맞물려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을 가진 협의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쿼드 4개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인 2019년 뉴욕에서 첫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했고, 작년 10월에는 일본에서 2번째 외교장관 회담까지 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교정책 기조에 대대적으로 반기를 들면서도 쿼드만큼은 인도태평양 정책의 토대라고 평가할 정도로 계승·발전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한 달도 안 된 지난달 18일 쿼드 4개국은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인도태평양의 안정과 번영, 항행의 자유 등을 위한 협력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그러고는 한 달도 못돼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입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