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인터뷰②] 전성우 "대학로 아이돌 수식어? 감사한 마음"
입력 2021-03-10 07:02 
데뷔 15년차를 맞이한 전성우가 지난 시간을 돌아봤다. 제공|높은엔터테인먼트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양소영 기자]
(인터뷰①에 이어) 2007년 뮤지컬 ‘화성에서 꿈꾸다로 연예계에 발을 디딘 전성우는 어느새 데뷔 15년 차 배우가 됐다.
그는 어느덧 데뷔가 그렇게 됐다. 중간에 군대도 다녀오고, 학교도 졸업하며 열심히 살았던 것 같다. 아직까지 제가 해 온 일에 후회는 없다. 중간에 힘들어서 포기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본 적도 있다. 이 일이 특히나 감정을 많이 사용하는 분야다 보니, 감정적으로 상처를 받았을 때 너무 힘들더라. 매 순간 대중의 평가를 받아야 하는 일이다 보니 그 자체가 힘들 때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이내 그럴 때마다 저를 버티게 해줬던 것은 제 모습으로 용기를 얻고 힘을 낼 수 있게 되었다는 한 분 한 분이 계속 계셔 주셔서 여기까지 오게 된 것 같다. 한 분, 한 분, 그렇게 점점 많은 분에게 차근차근 다가가 보자는 마음으로 계속 나아가고 있다”며 자신을 응원해준 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드라마 ‘열혈사제로 안방극장에 제대로 눈도장을 찍은 전성우에게 지금까지 연기한 캐릭터 중 실제 성격과 가장 비슷한 캐릭터는 무엇일까. 그는 아직까지는 만나지 못했던 것 같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제가 표현했던 인물들은 모두 저와는 좀 다른 인물들이었던 것 같다. 물론 그 안에서 저의 성향이나 색이 당연히 묻어 나왔겠지만 저와는 다르다. 아직 만나보지 못한 캐릭터들, 만나보고 싶은 캐릭터들이 너무 많다. 앞으로 작품을 좀 더 하다 보면 저와 싱크로율이 높은 캐릭터가 나오기도 하지 않겠냐”면서도 제 실제 성격은 차분한 편이고, 제 성격의 캐릭터가 있다면 너무 차분하고 조용한 편이라 눈에 잘 안 보일 거 같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전성우는 `대학로 아이돌`이란 수식어에 감사하다고 했다. 제공|높은엔터테인먼트

실제 연애 스타일을 묻자 전성우는 스스로는 다정한 스타일이라고 생각한다. 제가 싸우는 걸 정말 싫어한다. 그래서 싸움이 될 일 자체를 만들지 않으려 노력하는 편이다. 그런데도 어쩌다가 싸우게 되면 어떻게든 빨리 마음을 풀어주려고 한다. 그리고 저보다는 상대방의 마음을 좀 더 생각하는 편이고 서로 배려해줄 때 기쁨과 고마움을 느끼는 편이기 때문에 사랑과 의리를 함께 나누는 연애 스타일 같다”고 귀띔했다.
계속해서 연애나 결혼에 대해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심도 있게 생각해 본 적은 없지만, 연애와 결혼을 분리해서 생각해 본 적은 없다. 연애 따로 결혼 따로가 아니라 연애를 한다면 자연스럽게 연애 후 결혼. 그리고 그 상대는 제가 무언가를 자꾸 해주고 싶은 사람,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살 수 있는 사람과 하려고 한다”고 연애, 결혼관을 밝혔다.
전성우의 가장 큰 관심과 고민은 연기”다. 그는 아무래도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좋은 배우가 될 수 있을까가 고민이다. 이 고민은 배우라는 일을 시작하면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아마 평생 풀어가야 할 고민이겠지만, 차근차근 한발씩 밟아가며 나아가보려 한다. 해답을 찾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왕 한번 시작한 거 끝까지 해보겠다”며 의욕을 불태웠다.
뮤지컬부터 시작한 그에게는 ‘대학로 아이돌이란 수식어가 붙어 다닌다. 그는 제가 언제 아이돌을 해보겠나. 처음에는 이게 뭐야. 내 나이가 몇인데 아이돌이라니 했는데 지금은 그렇게 생각해주시고 불러주신 거에 감사한 마음이다"라고 말했다.
늘 하는 말이지만 연기 잘하는, 다양한 색깔을 가진 매력적인 배우가 되는 게 목표예요. 작품을 볼 때 이 사람이 그때 그 사람이라고 해주시는 게 너무 기분 좋더라고요. 그런 다양한 모습을 가진 배우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도 좋은 작품에서 새로운 모습,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신중하게 선택하고 고민해서 좋은 모습으로 찾아뵐 예정이고요. 너무 늦지 않게 돌아올 테니,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온 저의 모습에 많은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항상 최선을 다하는 배우가 되겠습니다.”
skyb1842@mk.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