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세계 20여개 가전회사, LG TV OS 쓴다
입력 2021-02-24 14:56 

LG전자가 하드웨어와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TV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LG전자는 독자적 스마트 TV 운영체제(OS)인 '웹OS'를 미국 RCA를 비롯한 전세계 20여개 TV 제조회사에 공급한다고 24일 밝혔다. 또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판매도 사상 처음으로 연간 200만대를 넘어서며 OLED TV를 프리미엄 TV의 한 축으로 안착시키고 있다.
LG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올해부터 전세계 20여개 TV 제조사에 웹OS 플랫폼을 공급하기로 했다. 고객사는 미국 RCA와 중국 콩카, 호주 아욘즈 등 글로벌 TV 기업들이다. 이들은 웹OS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TV 제품을 각각 출시할 예정이다. LG전자는 또 넷플릭스·아마존·유튜브·리얼텍·세바·유니버설일렉트로닉스 같은 콘텐츠·테크 기업과 협업해 플랫폼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LG전자는 이번 기회에 하드웨어 중심이던 TV 사업을 플랫폼 등 소프트웨어(SW) 생태계까지 확장한다는 목표다. TV 뿐 아니라 TV 플랫폼을 팔겠다는 얘기다. 앞서 LG그룹은 디지털 전환을 그룹 차원의 성장 전략으로 점찍었다. LG전자는 이와 관련 지난 달 광고·콘텐츠 데이터 분석 기업인 '알폰소'를 인수하기도 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웹OS 플랫폼을 사용하는 제조사가 늘어나면 플랫폼을 통한 수익 창출은 물론, 웹OS 사용 고객을 늘려 궁극적으로는 콘텐츠·서비스 사업을 고도화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LG전자의 웹OS는 인공지능(AI) 리모컨,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장점으로 한 플랫폼이다. LG전자는 웹OS와 함께 무료 방송 콘텐츠인 'LG채널', AI 씽큐 기반 음성인식 기능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전세계 TV 시장에서 스마트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71.6%에서 지난해 84.8%로 늘어나 확연한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박형세 LG전자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본부장(부사장)은 "웹OS TV가 갖춘 편의성과 개방성이 시장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며 "TV 기술 리더십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며 글로벌 TV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LG전자는 OLED TV 시장의 파이도 키우고 있다. 옴디아 자료를 보면 LG OLED TV의 연간 출하량은 지난해 약 204만7000대로, 처음으로 200만대를 돌파했다. 전년 대비 23.8% 증가한 셈이다. 특히 LG OLED TV의 평균 판매단가가 1972달러(약 218만8000원)으로 일반 액정표시장치(LCD) TV(428달러)의 4배가 넘는 고가 제품임을 고려하면, 이 같은 판매 증가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의미다.
LG전자를 포함한 전체 OLED TV 출하량도 지난해보다 20% 이상 늘어난 365만2000여대로 집계됐다. OLED TV 진영은 2013년만 해도 LG전자밖에 없었지만 지난해에는 총 19개 기업이 OLED TV를 출시했다.
옴디아는 올해 OLED TV 시장이 작년보다 60% 이상 늘며 총 56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TV용 대형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급하는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50만대 가량이던 패널 공급량을 올해 최대 800만 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종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