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만3000명, 지난해 첫 인구 감소…지방소멸 시작되나
입력 2021-02-24 14:08  | 수정 2021-03-03 14:38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자연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을 고려하면 '인구 절벽'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자는 27만2400명으로 1년 전보다 10% 감소했고, 사망자는 30만5100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출생자가 줄고, 사망자가 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3만2700명 자연감소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도 사상 처음 발생했다.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인구 자연증가는 2010년까지만 해도 20만명을 넘겼다. 하지만 2017년 7만2000명에 이어 2018년 2만8000명, 2019년 8000명으로 급속도로 줄었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던 출생아 수는 2017년 30만명대에서 3년 만에 20만명대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은 5.3명으로 역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반면 사망자 수는 30만5100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3.4%) 늘면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다치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인 조사망률은 5.9명으로 지난 2010년부터 11년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84명이다. OECD 회원국 중 압도적인 꼴찌다. OECD 평균은 1.63명(2018년 기준)이다. 한국을 제외하고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인 스페인(1.26명)과도 격차가 있다. 한국은 지난 2018년(0.98명) 처음으로 0명대에 진입한 뒤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그간 정부는 지난 10년간 200조원 이상을 쏟아부으며 저출산 문제를 해결보고고자 했지만 효과는 좋지 않았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시행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1∼3차에 걸친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추진해 2020년까지 총 225조원을 저출산 대응 예산으로 사용했다. 지난해 저출산 대응 예산은 40조2000억원으로 2006년(2조1000억원) 대비 20배나 늘었다.
그러나 출산율 하락을 막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충격이 겹치면서 향후 인구 자연감소는 더욱 가속할 가능성이 크다.
김수영 통계청 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혼인이 많이 감소해 향후 출생아 수가 더욱 감소할 여지가 있고, 사망자 수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연감소는 조금 더 가팔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winone@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