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올해 실손보험료 '갱신 폭탄' 전망…"장·노년층 100% 오를수도"
입력 2021-02-23 08:18  | 수정 2021-03-02 09:05

10년 전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에 가입한 4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보험료가 50% 가까이 올랐습니다. 작년 말 언론 보도를 보고 10%정도 보험료가 오르지 않을까 예상했다가 그 몇배나 되는 인상률에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A씨는 "올해 보험료가 많게는 19%가 오른다는 뉴스를 최근에도 봤는데 실제로는 50% 가까이 오른 가입자가 내 주위에만도 여러 명"이라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A씨는 보험료 부담에 요즘 상품으로 갈아타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지난달 보험업계는 표준화 실손보험(2세대)의 보험료를 평균 10∼12% 올렸습니다. 표준화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팔리고 단종된 상품이며, 그해 4월에 신(新)실손보험(3세대)으로 교체됐습니다.

표준화 실손보험 가입자인 A씨의 보험료가 10%대가 아니라 50%나 오른 것은 5년 전 갱신 이래 계속 같은 보험료를 내다가 이번 갱신에 그간의 인상률이 한꺼번에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은 이를 두고 '보험료 갱신 폭탄'이라 부릅니다.

표준화 실손 보험료는 작년과 2019년에 각각 9%대와 8%대가 올랐고, 2018년에는 동결됐습니다. 2017년에는 회사별 편차가 커서 많게는 20%가 넘게 인상됐습니다. A씨의 보험사가 5년간 10%씩 네차례 보험료를 인상했다고 가정하면 누적 인상률은 46%가 됩니다.


또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인상률 차등을 적용하면 장·노년층 남성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상률을 적용받습니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舊)실손보험 갱신을 앞둔 가입자는 더 센 폭탄을 맞을 수도 있는 처지입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구실손보험은 2018년을 제외하고 2017·2019년에 10%씩 인상됐고, 작년에도 평균 9.9%가 올랐습니다. 올해 인상률은 15∼19%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5년간 누적 인상률은 53∼58%에 해당합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구실손보험 갱신 가입자는 50% 이상 보험료가 오를 가능성이 크고, 일부 고령층은 인상폭이 100%에 이를 수도 있다"며 "구실손보험에 해당하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실손보험 갱신 고객 중에 100% 인상률이 적용된 사례가 최근 나오고 있다"고 오늘(23일) 전했습니다.

갱신 주기가 3년인 가입자는 3년치 인상률만 반영되므로 5년 주기 갱신 가입자보다 상대적으로 인상폭이 적지만 역시 수십% 인상을 각오해야 합니다.

정부는 앞서 2013년, 이러한 갱신 폭탄을 막고자 매년 보험료를 갱신하게 상품 구조를 수정했습니다.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3∼5년 주기 갱신은 매년 갱신보다 체감 인상률이 훨씬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보험업계는 올해 보험료 갱신 부담으로 구실손보험 가입자를 중심으로 신실손보험 또는 7월에 출시되는 '4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했습니다. 올해 신실손보험의 보험료는 대체로 동결됐습니다.

구실손보험은 단종된 지 12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870만 명(건)이 계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험연구원 정성희 연구위원은 "올해 구실손보험 갱신 인상률은 가입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터라 유지 여부를 고민하는 가입자가 많을 것"이라면서도 "본인부담이 전혀 없는 강력한 혜택 때문에 실제로 갈아타기 움직임이 나타날지는 더 지켜볼 부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