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3회_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입력 2021-02-17 21:22  | 수정 2021-02-21 05:50
Q. 최근 지진 발생 현황?
3일 인천 옹진군 해역 규모 2.2 지진 발생
건물 위층서 진동 느끼고, 차 흔들리는 수준
올해 한반도?인근 지진 중 가장 큰 규모

Q. 지진 진도 등급별 현상 및 피해?
진도 3, 건물 위층의 사람 진동 현저하게 느껴
진도 5,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 느껴
진도 7, 부실한 건물에는 상당한 피해 발생

Q. 경주?포항 지진 규모?
2016년 경주 지진, 지진 통보 이래 최대 규모
2017년 포항 지진, 경주에 이어 두 번째로 커
2018년 2월 포항, 4.6 규모의 여진 발생

Q. 경주?포항 지진 피해 사례?
경주 지진, 부상자 23명?재산 피해 5120건
포항 지진으로 1537명 이재민 발생
주택 1208동 피해,송유관 가동 중단

Q.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 보호해야
방석 등으로 머리 보호해야
가스?전깃불 차단하고 문 열어 출구 확보해야

Q.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을 꼭 신고 이동해야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 이용해 대피해야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이동해야

Q. 지진 발생 시 장소별 대응법?
백화점?마트, 진열장 물건으로부터 몸 보호해야
극장?경기장선 인파 몰리면 위험, 안내 따라야
산사태 발생 위험, 경사 피해 평지로 대피해야

Q. 장애가 있는 경우, 지진 대응법?
장애물 점검하고, 주변에 적극적으로 도움 요청
휠체어 사용 시, 바퀴 잠그고 머리?몸 보호해야
호루라기?펜 등 이용, 필요한 배려 받아야

Q. 지진 멈춘 후 행동요령?
부상자 살펴보고 집의 위험 여부 확인해야
주변의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 결정
옷장이나 보관함 등을 열 때 주의해야

Q. 평상 시 지진 대비 사항?
지진과 함께 화재 가능성 커, 소화용구 비치
대형 공터, 피난 장소까지 경로 미리 확보해야
지진 시 비상 대응 조직을 사전에 구성해야

Q. 지진 조기경보 시간 단축?
지진 조기경보 시간 5초까지 단축 계획
새로운 지진분석기술 도입, 대응력 강화
교내 방송시스템과 지진정보시스템 연계 확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