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2회_봄철 산불 원인과 예방 요령
입력 2021-02-17 21:22  | 수정 2021-02-19 06:19
Q. 강원 산불 피해 사례?
2019년, 축구장 4000개 규모 산림 훼손
재산피해액 1291억, 이재민 1524명 발생
동해안 산불 3일간 지속, 헬기 105대 투입

Q. 건조주의보?경보 발령 기준?
실효습도 통해 화재 발생 가능성 예측
실효습도 35% 이하 지속될 때 주의보 발령
건조한 공기, 산소 압축돼 연소속도 증가

Q. 봄철 산불 발생 건수?
최근 10년 산불 중 65%, 봄철에 발생
2017년 이후 매년 봄철마다 대형 산불 발생
연중 산불 피해 면적의 80%, 봄철에 발생

Q. 봄철, 잦은 산불 원인?
기후변화로 건조한 날씨, 강우량 감소가 원인
봄철 강풍, 누적된 낙엽층으로 산불 위험 상승
입산자 실화, 소각행위 등 부주의로 인해 발생

Q. 올 봄 산불 발생 전망?
올 봄, 평년보다 강한 바람 불 전망
산불 발생 위험 예년보다 높을 듯
남부지방을 시작으로 산불위험도 상승

Q. 대형산불 증가 추세?
강수량, 강수일수 감소하는 추세
산불 위험 높은 봄?가을 고온현상 잦아져
산불 발생 위험 증가, 대형산불 안전지대 없어

Q. 산불 방지 위한 대책?
2월1일~5월15일, 산불방지 종합대책 기간
동해안 중심, 연기 감지 센서?CCTV 구축
산불 드론 감시단, 무단입산?불법소각 감시

Q. 산불 예방 위한 국민행동요령?
산행 전 출입 가능한 등산로 확인해야
성냥, 라이터 등 인화물질 소지 말아야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취사 가능

Q 산불 발견 시 대처요령?
산림청, 소방서, 경찰서 등 산림관서에 신고
초기 작은 산불 진화 땐, 외투 이용해 가능
산불 규모 커진다면 안전지대로 신속히 대피

Q. 산불 주택가로 번질 경우 대처법?
집 주위 물 뿌리고, 인화성 높은 물질 제거
논, 밭, 학교, 공터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
산불 가해자 인지 땐 경찰서 등에 신고해야

Q. 산불 번질 경우 대처법?
바람 방향 감안해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불이 지나간 장소, 도로, 바위 등으로 대피
낮은 지역 찾아 낙엽 등을 긁어내고 엎드려야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