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MB 국정원 사찰' 여 "판도라 상자" vs 야 "정치적 의도"
입력 2021-02-17 13:59  | 수정 2021-02-24 14:05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의 지시 아래 국가정보원이 18대 국회의원 전원과 법조인 등을 사찰했단 의혹이 쟁점화되면서 여야가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반드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며 국정원 사찰성 정보공개촉구결의안을 발의한 반면, 국민의힘은 4.7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명백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다고 반발했습니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오늘(17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불법 사찰의 시기와 규모, 대상 등의 전반적인 목록이 개별적으로 통지가 돼야 한다"며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여야가 함께 이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 의원은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던 박형준 국민의힘 부산시장 경선후보도 사찰 사실을 알고 있었을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당시 민정수석실 주도로 (사찰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민정수석실은 정무수석실과 이 사안을 함께 공유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정무수석실의 주요 업무가 국회의원들을 관리하는 건데, 그런 관리의 필요성을 민정수석실이 국정원에 요청했다고 하면 당연히 정무수석실과 민정수석실이 함께 상의하고 공유한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박 후보가 이 사안을 '정치공작'으로 규정한 것과 관련해선 "이번 보궐선거보다 더 중요한 내년 대선이 있는데, 정치공작이라면 이 어마어마한 판도라 상자를 대선 앞두고 열려고 하지 보궐선거 전에 열진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에서 보고한 건 이명박 정부에 그쳤지만, 바로 다음 정권인 박근혜 정부까지 사찰이 장기간 이뤄졌을 것으로 여당은 보고 있습니다.



강훈식 민주당 의원은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정원이 과거에 문제가 있었던 건 아는데 청와대가 연관돼 있다라는 게 심각한 문제"라며 "박근혜 정부에서도 (사찰이) 중단했던 자료를 못 찾았은 만큼 계속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강 의원은 "이번 정부 들어와서 정치 사찰과 개입을 막겠다고 선언했으니 끝난 것과 시작한 것도 확인이 됐는데 중간에 그만둔 적이 없어서 10년에 걸쳐 사찰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문재인) 정권 들어와서 적폐 청산한다며 6개월 동안 국정원을 탈탈 털었지 않느냐"며 "그 당시엔 이거 왜 안 했나. 왜 선거 앞두고 지금 와서 부산에서 (지지율) 1등 하고 있는 박형준 후보를 포함해 조사해야 한다고 하느냐"고 받아쳤습니다.

성 의원은 "하더라도 (4.7 재보궐) 선거 끝나고 하는 게 맞다"면서 "DJ정부,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현재 문재인 정부까지 다 조사하자"고 맞불을 놨습니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도 "서슬 퍼런 임기 초에도 안 보였던 문건이 보궐선거를 코앞에 둔 이 시점에 갑자기 튀어 나온 것이 과연 우연일까"라며 "노무현 정부 국정원 사찰은 ‘개인 일탈이라며 면죄부를 주면서 이명박 정부 국정원 서류만 계속 꺼내드는 이유가 대체 무엇인가"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 박유영 디지털뉴스부 기자 / shine@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