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지역화폐 무용론? 현장에선 효과…조세연, 황당한 논리"
입력 2021-01-29 11:45  | 수정 2021-02-05 12:05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오늘(29일) "일각에서 지역화폐 무용론을 제기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지역화폐가 매출 회복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효과가 검증된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2차 재난기본소득이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를 돕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모든 도민에게 지역화폐로 1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발표한 다음 날, 경기연구원(경기연)의 조사를 근거로 지역화폐의 소비 견인 효과를 거듭 역설하고 나선 것입니다.

이 지사는 "경기연이 2020년 1~3분기에 소상공인 3천8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역화폐가 '매출 회복에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1분기 32.9%에서 2분기 67.6%로 두 배 이상 늘었고,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는 응답 역시 38.5%에서 70.8%로 높아졌다"며 "이는 1차 재난기본소득이 지역화폐로 보편지급 되던 때"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7월 소비자 3천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지역화폐 대신 현금으로 지급된다면 99.0%가 '저축하거나 지역상권 이외에서 소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며 "상인단체들이 재난기본소득을 지역화폐로 지급해달라고 요청하는 이유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조세재정연구원(조세연)을 향해 또 날을 세웠습니다.

그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담아내는 것이 정책 입안의 기본인데, 지난해 9월 조세연은 한 지역에서 지역화폐를 쓸수록 다른 지역의 매출이 줄어든다는 황당한 논리를 펼쳤다"며 "그래놓고 지역화폐 발행이 예산낭비라는 결과를 내놓으면서, 대형 유통재벌로부터 영세소상공인으로 매출을 이전시키는 수직이동 효과는 완전히 간과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