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봉합 수순 '사면론' 불씨 여전…"시점이 문제"
입력 2021-01-05 11:45  | 수정 2021-01-12 12:03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을 놓고 여권 내에서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그제(3일) 사면론을 사실상 재론하지 않기로 방향을 잡고 봉합에 나섰지만,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사면론은 언젠가는 이슈화될 사안이기는 하지만, 그 타이밍을 놓고서는 다소 시기상조가 아니었느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홍익표 정책위의장은 오늘(5일) KBS 라디오에서 "두 전직 대통령 사면 문제는 시점이 문제이지, 제기될 수밖에 없었던 사안"이라며 "거의 대부분의 대통령이 비극적 최후를 맞거나, 감옥에 가는 일이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홍 의장은 "국민들이 촛불을 들었을 때 느꼈던 분노가 가라앉지 않았다"라면서도 "문재인 정부와 여당에 대한 비판과 질책도 많다. 그런 문제를 풀어가면서 사면 문제도 언젠가는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새해 첫날 사면론을 꺼내든 이낙연 대표에 대해서는 "간보기할 분이 아니다"라며 "개인으로는 정치적으로 손해다. 단순 선거용이나 정치적 이해관계를 놓고 한 판단이 아니라고 본다"고 옹호했습니다.

김한정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당대표로서 해야 할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중순 이후 연두 기자회견에서 국민적 논란에 대해 말씀이 있을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대통령이 사면할 수 있도록 야당도 말을 조심하고, 분개하는 국민이 있다는 것을 의식해 자세를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부산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준비 중인 김영춘 전 국회사무총장은 MBC 라디오에서 사면론과 관련한 부산 민심이 어떻냐는 질문에 "국민의힘 지지자들이야 찬성을 적극적으로 하겠지만, 중도층을 포함해도 시민은 반반 아닌가 싶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총장은 "대법원 판결이 끝나도, 사과나 반성의 표현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사면할 수 있다는 여론이 많은 것 같다"는 신중론을 폈습니다.

박수현 홍보소통위원장은 YTN 라디오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재상고심 선고가 14일 예정된 것과 관련, "문 대통령 회견이 14일 이전에 잡혔다면 '확정판결 전이니 지켜보겠다'라고 답변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보다 나아간 수준으로 답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첫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박 위원장은 "대통령의 짐을 덜어줘야 한다는 이 대표의 충정과 선의를 이해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한 측면으로 가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