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 국무부,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에 억류해제 요구
입력 2021-01-05 07:33  | 수정 2021-01-12 08:03

미국 국무부는 현지시간으로 오늘(4일) 이란이 한국 국적 유조선을 억류한 것과 관련해 즉시 억류해제를 요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대변인 명의로 이런 입장을 냈습니다.

또 이란이 걸프만에서 항행의 자유를 위협하고, 대이란 제재 완화를 강요하려고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 정권은 국제사회의 제재 압력 완화를 얻어내려는 명백한 시도의 일환으로 페르시아만에서 항행의 권리와 자유를 계속 위협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란에 유조선을 즉각 억류해제하라는 한국의 요구에 동참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국 국적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가 현지시간 이날 오전 10시쯤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됐습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성명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한 뒤 "이 조치는 해당 선박이 해양 환경 규제를 반복적으로 위반한 데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한국케미호는 남부 반다르아바스 항에 억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국케미의 선사인 디엠쉽핑 측은 "해양 오염을 할 이유는 전혀 없다"면서 이란 측이 제시한 나포 사유를 반박했습니다.

한국케미는 메탄올 등 3종류의 화학물질을 실은 채 사우디아라비아 주발리에서 출항해 아랍에미리트(UAE)의 푸자이라로 향하던 중이었습니다.

이 배에는 선장을 비롯해 한국 선원 5명, 미얀마인 11명, 인도네시아인 2명, 베트남인 2명 등 모두 20명이 승선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선박의 조기 억류 해제를 요구하는 한편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작전 중이던 청해부대 최영함을 호르무즈 해협 인근으로 긴급 출동시켰습니다.

걸프 해역 입구인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3분의 1이 지나는 전략적 요충지로, 이란은 미국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해협 봉쇄를 위협했고, 여러 차례 선박을 나포하기도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