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여아 초경연령 15년간 계속 빨라져…조기초경 평균 연령 10.5세
입력 2020-12-30 17:35 

우리나라 여아의 초경 연령이 지속적으로 앞당겨지고 있으며, 조기초경의 기준은 초경연령이 10.5세 미만인 경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조숙증과 조기초경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는 가운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근 초경연령 추이와 조기초경의 기준연령이 제시된 연구결과로 이목이 집중된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교수팀(서문영, 김신혜, 박미정)이 2006~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여학생 35만 1,006명(12~18세)의 초경연령을 분석한 결과, 1988년 출생아의 초경연령은 13.0세에서 2003년 출생아는 12.6세로 15년간 약 5개월가량 앞당겨졌으며, 이는 이전 연구들에서 1980년대 초 출생아 기준으로 13.1~13.8세로 보고되었던 초경연령보다 약 1년가량 앞당겨진 결과였다.
연구자들은 모든 참여자중 3%가 10.5세 이하의 연령에서 초경을 시작한다고 분석하여 10.5세를 한국 여아의 조기초경 연령 기준으로 보고했다. 조기초경의 유병률은 2006년 1.8%에서 점차 늘어 2015년에는 3.2%까지 증가했으며, 조기초경 유병률은 비만과 과체중 여아에서 약 1.5~2배가량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정상체중 및 저체중 여아에서도 증가하는 추세가 관찰됐다.
박미정 교수는 "많은 연구자들과 보호자들은 예전 기준을 적용하여 12세 미만 초경연령을 조기초경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조기초경 연령의 기준 근거가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35만명이라는 대규모 집단으로 추이와 기준점을 연구해 의미가 깊다. 성조숙증에 대한 치료나 연구는 현 시점에 맞는 초경연령을 고려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신혜 교수는 "이 연구는 비만이나 과체중 여아에서 조기초경 유병률이 상승한 것을 보여주므로 과체중 조절을 통해 성조숙증의 발생과 비만으로 인해 성장판이 빨리 닫히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한 정상체중 여아에서도 사춘기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정상체중인 경우라도 유방발달이 만 8세 전에 너무 빨리 발현되지는 않는지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2월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