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은 눈과 뇌를 연결하는 신경(시신경)에 무언가 이상이 생겨 시야결손이 생기는 질환이다. 시야 결손은 한 눈을 감았다 떴을 때 보이는 전체 범위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어느날 갑자기 심한 시야결손이 급성으로 발생하지 않는 한 만성 녹내장처럼 서서히 발생하는 시야결손은 자각하기 어렵다.
녹내장은 방치하면 실명으로 악화되어 황반변성, 백내장(우리나라는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3대 실명질환으로 꼽힌다.
녹내장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안압(눈의 압력)이 높은 경우 고안압으로 인해 시신경이 압박을 받아 시야손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안압은 정상이지만 안압의 하루 변동 폭이 크거나, 근시로 인해 시신경이 약해져 있거나, 시신경 혈액 순환이 잘 안 되는 경우, 혹은 유전자 이상 등의 이유로 녹내장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나라 녹내장 환자의 약 80~90%는 안압 수치는 정상인 '정상안압녹내장'을 앓고 있다.
그런데 정상안압 녹내장을 포함한 원발개방각 녹내장은 초기에 증상을 자각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초기에는 주변부 시야부터 손상이 시작되고 서서히 중심 시야까지 진행하기 때문이다. 중심 시야는 말기까지 보존되기도 한다. 따라서 말기 녹내장이라 하더라도 시야만 좁아지고 시력은 1.0까지 유지되는 경우가 빈번해 좁아진 시야를 인식하지 못하여 뒤늦게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녹내장인지율은 8%, 즉 녹내장 진단받은 환자 100명 중 92명은 녹내장이 있다는 것을 모른다는 얘기다.
하지만 한번 손상된 시신경은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계단을 헛디디거나 자주 넘어지고, 낮은 문턱에 머리를 부딪히거나 운전 중 표지판과 신호등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녹내장을 의심하고 안과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 눈 건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녹내장은 한번 진단 받으면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신중하고 정확하게 진단해야 한다. 특히 높은 안압은 녹내장 발병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안압검사가 필요하며, 안압이 정상이더라도 녹내장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신경검사를 해야 한다. 또한 전문의 판단에 따라 전안부 검사, 시신경 및 망막신경섬유층 검사, 시야 검사, OCT 검사 등을 복합적으로 시행해 정확하게 녹내장을 진단하고, 녹내장 종류와 현재 병기에 알맞은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녹내장은 종류에 따라 진행 속도가 달라서 만성녹내장은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하지만 급성녹내장, 폐쇄각녹내장, 거짓비늘녹내장, 신생혈관녹내장 등은 진행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내장을 명확하게 진단받은 후에는 안압을 떨어뜨리기 위한 약물 요법을 주로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 레이저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안압 낮추는 효과는 수술치료가 약물이나 레이져에 비해 우수하지만, 수술치료 후 시력을 떨어뜨리는 합병증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는 약물치료가 우선 된다.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유정권 교수는 "녹내장은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주요 안과 질환이지만 특별한 예방법이 없다"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녹내장을 발견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대처법이다. 고도 근시, 40세이상, 당뇨, 고혈압,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경우 안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 치료 필요 여부와 검사 주기를 상담하는 것이 좋다. 녹내장 치료는 약물치료가 주를 이루지만 최근 들어 기존 녹내장수술의 단점을 보완한 최소침습녹내장수술(MIGS) 방법들이 나와서 수술치료 선택의 폭이 조금씩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각 수술방법마다 장단점들이 있어 안과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