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뜩이나 취업문 좁은데"…3분기 채용, 7년 만에 최저
입력 2020-12-29 16:31  | 수정 2021-01-05 17:0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해 3분기(7∼9월) 국내 기업의 채용 규모가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오늘(29일) 발표한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3분기 채용 인원은 55만7천 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4만1천 명(6.9%) 감소했습니다.

이는 3분기 기준으로는 2013년(54만7천명)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이 줄줄이 채용을 축소하거나 연기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됩니다. 기업의 채용 축소는 청년 취업난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3분기 구인 인원은 62만1천 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5만1천 명(7.6%) 감소했습니다. 구인 인원은 2012년 3분기(58만6천명) 이후 가장 적었습니다.

구인 규모를 직종별로 보면 경영·행정·사무직(9만2천 명), 건설·채굴직(5만7천 명), 보건·의료직(5만 명), 영업·판매직(4만3천 명) 순이었습니다.

노동부는 "직종별 구인 수요는 감염병과 고령화 등으로 보건·의료직 등은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면서 채용 전망도 어두운 상황입니다.

5인 이상 기업의 올해 4분기∼내년 1분기(2020.10∼2021.3) 채용 계획 인원은 25만3천 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천 명(1.1%) 감소했습니다.

이는 노동부가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채용 계획 인원은 조사 대상 기업이 밝힌 계획을 취합한 것으로, 실제 채용 규모는 경기 변동 등에 따라 큰 폭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채용 계획 인원이 많은 직종은 경영·행정·사무직(3만5천 명), 운전·운송직(3만3천 명), 보건·의료직(1만8천 명), 영업·판매직(1만8천 명), 제조 단순직(1만7천 명) 순이었습니다.

권기섭 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기저 효과,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공공 일자리 만료 등이 맞물려 적어도 내년 1분기까지는 고용 둔화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권 실장은 "정부는 내년 1분기를 고용 회복의 분수령으로 보고 오늘 발표한 맞춤형 피해 지원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는 인력 미스매치(수급 불일치) 완화를 위해 기업의 구인·채용 인원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 가운데 약 3만2천곳의 표본을 대상으로 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