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키 큰 학생도 편안하게'…국표원, 학생용 책걸상 크기 늘린다
입력 2020-12-27 11:09  | 수정 2021-01-03 12:03

키 180㎝가 넘는 학생들도 편안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현재 최대 치수보다 더 큰 치수의 학생용 책걸상이 도입됩니다.

상당수 학생의 엉덩이 너비보다 폭이 좁았던 의자 좌판 길이도 늘어납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과거보다 커진 학생들의 체격과 수업 환경 변화에 맞춰 학생용 책걸상의 신규 치수를 도입하고, 의자 좌판 크기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학생용 책상 및 의자' 한국산업표준(KS) 개정안을 내일(28일)부터 적용한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현행 학생용 책걸상은 2001년 정해진 표준 신장을 기초로 규격을 도입했습니다.

이에 국표원은 교육청의 학생건강검사 키, 몸무게 자료와 한국인 인체지수 조사 자료 등을 활용해 개정안을 마련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5년간(2014∼18년) 평균 키는 초·중·고등학생이 각각 0.2㎝, 0.73㎝, 0.25㎝씩 커졌습니다.

평균 몸무게도 각각 0.65㎏, 1.49㎏, 1.52㎏씩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중·고등학생의 경우 남학생 평균 몸무게 증가량은 각각 2.33㎏, 2.27㎏으로 여학생 0.66㎏, 0.83㎏보다 많았습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키 180㎝ 이상인 남학생이 10명 중 1명꼴(11.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표원 관계자는 "현재 의자 좌판의 최소 길이가 조사 자료의 엉덩이 너비보다 큰 경우는 51.5%로, 거의 과반수(48.5%) 학생이 자신의 엉덩이너비보다 폭이 좁은 의자에서 공부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표원은 학생들의 커진 키에 맞는 제품을 보급하기 위해 현재 가장 큰 크기인 6호(키 180㎝ 기준)보다 큰 치수인 7호(키 195㎝ 기준)를 새로 도입하고, 의자 좌판의 최소 길이도 호수별로 2∼4㎝ 늘렸습니다.


학생들의 늘어난 몸무게에 맞춰 제품 강도와 내구성 시험 때 사용하는 힘의 세기와 횟수 등 기준도 상향 조정했습니다. 예컨대 책상 안전성 시험 때 사용하는 추의 무게는 기존 45㎏에서 60㎏으로 늘렸습니다.

조별 토론수업 등 달라진 수업 환경에 활용될 수 있는 책상 상판의 각도 조절, 캐스터(바퀴) 부착 책상이나 발 받침대 부착 의자 등 기능성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해당 제품의 품질을 점검할 수 있는 시험 방법도 추가했습니다.

국표원은 내년 초부터 개정된 내용에 따라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차질없이 KS 인증을 갱신하도록 하고, 교육청에서 개선된 책상과 의자를 구매할 수 있도록 알릴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