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조선 협력사 "주 52시간 1년만이라도 유예를"
입력 2020-12-21 11:39 

"1년 만이라도 주 52시간 제도 도입을 유예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합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협력사협의회는 21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 52시간 확대 시행 유예를 요청했다. 210여개 중소 협력사로 구성된 협의회는 내년 1월1일부터 50~299인 이하 기업까지 주 52시간 제도가 확대 시행되면 협력사들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주 52시간 제도가 확대되면 현재 주 62시간 근무하는 상황을 감안할 때 2000명이 넘는 추가 인원이 필요하다. 향후 물량이 늘어나면 인력이 더 늘어날 수 있다. 협의회는 추가 채용에 따른 비용이 증가해 협력사의 경영난이 악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근무 시간이 줄어들면 임금도 하락한다. 협의회는 임금이 평균 20% 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 업계에서는 주 52시간이 적용되면 현재 평균 300만원 수준인 협력사 직원의 월 급여는 60만~100만원 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향후 작업 물량이 늘어난도 해도 임금이 적어 조선 기술 인력 수급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협의회는 "선박은 태풍과 더위 등 날씨에 따른 변수가 많아 계획적인 인원 투입과 공정 준수가 어렵고, 납기를 맞추기 위해 긴급 작업이 수시로 발생한다"며 "주 52시간 제도 시행으로 공정 차질은 물론 납기를 맞추기 위해 과도하게 인원을 투입하게 되면 안전사고 위험도 커진다"고 주장했다.

앞서 협의회는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5개 조선사 소속 458개 협력사와 함께 임직원 4만4000명이 서명한 '조선업종 주 52시간 적용 유예 요청 탄원서'를 청와대와 국회 등에 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예정대로 주 52시간 확대 시행을 내년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제도 유예를 요청하고 있지만 정부가 수용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원청과 협력사들이 해결 방안을 찾고 있는데 쉽지 않아 고민이다"고 말했다.
[울산 = 서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