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세계 상장주 시가총액 '100조 달러' 돌파…백신 보급이 시세하락 압력 될까
입력 2020-12-20 10:11  | 수정 2020-12-27 11:03

세계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상장주식의 시가 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오늘(20일) 금융정보 제공업체 '퀵·팩트 세트' 데이터를 근거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세계 상장주 시총은 그제(18일) 기준 100조1천872억 달러(약 11경 원)에 달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전인 작년 말 시점과 비교해 17% 증가했습니다.

그제(18일) 기준 세계 상장주 시총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올해 세계 명목총생산(GDP, 83조 달러)을 20% 이상 웃도는 것입니다.


올 한해 세계 주식시장은 롤러코스터 수준의 급변동 장세를 연출했습니다.

올 초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 여파로 급락 장세에 빠지면서 3월에는 시총이 59조 달러까지 쪼그라들었습니다.

그러나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대규모 재정정책과 금융완화를 추진해 유동성 공급을 확대한 영향으로 급등세로 돌아섰습니다.

여기에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시총이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작년 말 이후 소프트웨어 관련 등의 기술서비스 시총이 57% 급증해 주요 업종 가운데 상승률 1위에 올랐습니다.

전기차(EV)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한 자동차와 게임 관련 호조세가 이어진 내구소비재 시총이 47% 증가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헬스케어 관련 주식의 시총도 28% 늘어 상위에 포진했습니다.

반면에 시총이 가장 크게 줄어든 것은 -17%를 기록한 에너지 업종으로 나타났습니다.

에너지 업종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사람 이동과 물류가 침체해 석유류 수요가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중시하는 경향이 악재가 됐습니다.

대규모 금융완화에 따른 세계적인 저금리 추세로 수익성이 떨어진 금융업종 시총도 5%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첨단기업 중심인 미국의 시총이 21% 늘어 42조 달러가 됐습니다.

중국은 증가율에서 미국을 압도하는 48%를 기록하며 9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일본은 10% 늘어 7조 달러에 그치면서 중국과의 시총 차이가 더 벌어졌다. 유럽도 6% 증가에 머물렀습니다.


시총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 중에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업체인 스위스 릴리프 세러퓨틱스가 635배로 폭증하는 등 의료 관련 기업의 시총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시총이 세계에서 가장 큰 미국 애플은 65% 늘어나 개별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2조 달러 벽을 넘었습니다.

이밖에 EV의 테슬라는 9배,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는 2배로 시총이 불어났습니다.

중국 기업 중에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텐센트가 56%, 알리바바그룹이 25% 증가하는 등 주력 종목이 일제히 시총을 키웠습니다.

닛케이는 세계 GDP를 소폭 밑도는 수준을 유지했던 상장주 시총이 GDP의 20%를 넘은 것은 이례적이어서 시장과열에 대한 경계감이 강해지고 있다며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제가 정상화하고 금융완화가 축소되면 시세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