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19로 하루 새 22명 사망…전문가 "병상 확보 시급"
입력 2020-12-17 09:58  | 수정 2020-12-24 10:0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1천명대를 기록하는 가운데 사망자 또한 연일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공호흡기와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 규모도 이달 들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오늘(1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 중 숨지거나, 사후 양성으로 확진된 사망자가 전날 하루에만 22명 늘었습니다.

하루 새 사망자가 20명대를 기록한 것은 국내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처음입니다. 사망자 수는 지난 15일부터 사흘 연속(13명→12명→22명)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사망자 수가 급증한 데 대해 "환자가 늘면 사망자도 함께 증가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나타나면서 고위험군이 (확진자에) 많이 포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천 교수는 "특히 수도권에서는 제때 입원을 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늘어나다 보니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쳐 사망률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지금 추세대로라면 사망자는 계속 증가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2주 전부터 고위험군 감염이 늘어났고, 보통 짧으면 5∼7일, 길면 10∼14일 전후로 중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이번 주부터 사망자가 많이 늘어날 거라고 예측됐다"면서 "앞으로 확진자가 200∼300명대, 또는 100명대 이하로 충분히 줄지 않으면, 사망하는 사람도 계속 늘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위중증 환자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1일 위중증 환자는 97명이었으나 2일(101명) 100명을 넘어선 뒤 이후 일별로 117명→116명→121명→125명→126명→134명→149명→172명→169명→179명→179명→185명→205명→226명→242명을 기록하며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1일과 비교하면 약 보름 사이에 배 넘게 증가한 셈입니다.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늘어난 데에는 확진자 중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60대 이상 고령층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확진자 3명 중 1명은 60대 이상입니다. 지난 6∼12일 1주일간 전체 확진자 가운데 60대 이상 비율은 32%로 직전주(11.29∼12.5)의 22.9%에 비해 9.1%포인트나 상승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환자·사망자 숫자를 줄이기 위해선 전체 유행 규모가 더 커지지 않도록 억제하면서 병상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엄 교수는 "중환자가 늘어나는 것을 막으려면 결국 전체 유행 규모를 줄이는 것이 첫 번째지만, 이러한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빠르게 병상을 확충해서 중환자가 될만한 사람에 대한 치료를 신속하게 시작하는 방법 외엔 없다"고 말했습니다.

천 교수도 "(위중증 환자 증가세는) 그간 전문가들이 병상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해온 이유"라며 "과거 대구·경북 1차 대유행 때 (병상이 부족해) 겪었던 일을 수도권에서 똑같이 겪으려 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천 교수는 다만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병원을 비우기 시작하면서, 다른 질병을 앓던 중환자들이 사망하는 것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이나 다름없다"며 "코로나19 환자뿐만 아니라 이들 환자도 함께 치료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