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졸은 결국 무기계약직…" 부산시 공기업, 고졸 채용 현황 논란
입력 2020-12-16 16:55  | 수정 2020-12-23 17:03

최근 4년간 부산시 산하 공사와 공단 및 출자·출연기관 고졸 채용이 무기계약직 위주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김광명 의원(남구2)은 오늘(16일) 열린 시의회 제292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부산시가 제출한 올해 8월 기준 정원이 100명 이상인 10개 해당 기관의 2016∼2019년 고졸자 채용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고졸 채용 인원은 2016년 23명에서 2019년 122명으로 확대됐습니다.

2017년 '부산시 고등학교 졸업자 고용촉진 조례'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세부내용을 보면 조례 취지가 무색할 정도라는 게 김 의원 주장입니다.

이 기간 정규직은 18명에서 2명으로 크게 줄고, 무기계약직은 5명에서 120명으로 대폭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김 의원은 "고졸자 채용 실태를 보면 양적인 증가는 있었지만, 고용의 질은 열악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조례에 따라 고용목표를 달성한 공사 등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실적은 전무하고, 고졸자 고용 촉진 대책도 미흡하다고 김 의원은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한 고교에서 열린 '부산형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대책 선포식'에 참석한 특성화고 학생 앞에서 '부산형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중 중소기업에 취업해 6개월 이상 재직하면 1인당 300만 원을 지급하는 교육부 취업연계 장려금에 덧붙여, 시가 추가로 200만 원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시는 2020년 관련 예산에 30억 원을 반영할 계획이었으나 재정 상황을 이유로 편성하지 못했고, 내년도 예산에도 반영되지 못했습니다.

김 의원은 "중견·중소기업이 많은 부산 고용시장은 고졸 인재에 대한 수요가 다른 지역보다 높기에 지자체 지원과 관심이 절실하다"며 "공공기관의 신뢰 회복이 실업계고 살리기의 첫 단추"라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