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수도권 '익명검사'서 19명 확진…"조기 발견 의의"
입력 2020-12-16 15:48  | 수정 2020-12-23 16:0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제 검사를 위해 수도권에 설치된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익명 검사를 통해 19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이뤄진 익명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는 총 19명입니다.

방대본은 이들 19명이 언제 검사를 받은 것인지 확진일자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다가, 뒤늦게 그제(14일) 이뤄진 4천973건의 검사 가운데 일부가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홍정익 방대본 대응관리팀장은 이날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확진자 19명은 14일에 검사한 결과가 어제 양성으로 나온 것"이라며 "확진자 신고까지 완료된 건은 4명이며, 오늘 중으로 나머지 신고가 완료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진단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되면 보건당국의 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는데 다소 시차가 있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홍 팀장은 "임시 선별검사소는 익명 검사에 따라 개인 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역학조사, 인적 조사를 확인하는 프로세스(절차)를 거치기에 조사를 한 뒤에 보건소가 입력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일반적인) 선별진료소에서 하는 검사는 이미 검사를 받을 때부터 인적 정보가 있어 처리되므로 검사 확인 시점이 곧 신고 시점이 되지만 임시 선별검사소는 사후에 하기에 늦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제(14일) 이뤄진 검사 건수 대비 확진자 수를 계산한 양성률은 약 0.38%(4천973건 중 19건)입니다.

익명 검사의 양성률이 다소 높은 것 아니냐는 질의에 홍 팀장은 "일반적으로 생각한 것보다 높은 게 사실"이라면서도 "충분한 기간, 숫자가 있어야 대표성은 띄는 만큼 (국내 상황을) 대표한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19명을 발견했다는 데 의미를 둔다"며 "이들이 기존 선별진료소나 의료기관에 갔으면 하루 이틀 늦어지거나 아예 발견되지 않았을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날 오전부터 오후 6시까지 수도권 내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이뤄진 익명 검사는 총 1만3천629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콧속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는 '비인두도말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은 경우가 1만2천356건으로, 전날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이뤄진 검사의 90.7%를 차지했습니다.

침을 이용한 '타액 검체 PCR' 검사는 819건, 빠르면 30분 내 결과가 나오는 '신속항원검사'는 454건이었습니다.

방역당국은 신속항원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는 경우 2차로 비인두도말 PCR 검사를 하도록 했는데, 현재까지 2차 검사를 받은 사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전날 비인두도말 PCR, 타액 PCR, 신속항원검사 등 총 8천336건의 검사가 이뤄졌습니다. 경기는 4천965건, 인천 328건 등이었습니다.

수도권 내 임시 선별검사소가 문을 연 14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이뤄진 검사 건수는 누적 1만8천602건입니다. 서울, 경기, 인천 내 총 73곳에서 검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수도권의 '숨은 감염자'를 선제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역, 강남역 등 약 150곳에 임시 선별검사소를 순차적으로 설치해 내년 1월 3일까지 3주간 집중적으로 검사하고 있습니다.

검사소에서는 기침, 발열, 인후통 등 코로나19로 의심할 만한 증상 발현 여부나 역학적 연관성 등과 관계없이 휴대전화 번호만 제공하면 누구나 익명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익명 검사는 확진자에 대한 '낙인 효과' 우려에 검사를 기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5월 서울 이태원 클럽발(發) 집단감염 사태, 8월 수도권 중심의 2차 유행 때도 일부 시행된 바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