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민주, '백신확보 실패' 비판에 신중론으로 방어…"안전성 검증이 먼저"
입력 2020-12-15 11:13  | 수정 2020-12-22 12:03

더불어민주당은 오늘(1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세를 잡기 위한 방역 뒷받침에 당력을 집중했습니다.

백신 확보에 실패했다는 야당의 비판에는 안전성 검증이 우선이라는 신중론을 펴며 국민의 안전 문제를 정치적 공세로 삼고 있다고 방어막을 쳤습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치료제와 백신 공급이 목전"이라며 "지금의 고비를 잘 넘기는 게 중요하다. 민관이 협동하면 코로나19 전쟁에서 분명히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동수 정책위부의장도 "백신, 치료제가 가시권이다. 지금의 위기가 마지막 고비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은 코로나19 치료제는 1월, 백신은 3월쯤 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그때까지 최근의 급증세를 진정시키고 관리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당 관계자는 "정치권부터 솔선수범해 방역·민생·경제 대책에 모든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며 "그게 국민에 대한 도리이고, 방기하면 무책임한 자세"라고 했습니다.


국민의힘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미국과 영국 사례를 내세워 백신 확보가 미비하다고 공격에 나선 것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백신의 안전성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백신 접종을 주장했다가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는 부담감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 관계자는 "백신의 안전성을 100%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접종한다는 건 실험용 쥐가 되는 것 아니냐"고 격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복지위 소속의 한 의원은 "보통 백신을 개발할 때 임상 기간만 3년인데, 현재 백신은 개발부터 임상까지 1년 남짓이 소요됐다"며 "접종을 시작한 국가는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상황이 심각하기 때문에 부작용을 감수하지만, 우리나라는 상황이 다르지 않나"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당국이 충분히 설명했는데도 계속해서 이 문제를 공격 소재로 삼는 것은 다분히 정치적"이라고 꼬집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