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5회_산불 예방 요령과 기상전망
입력 2020-12-14 12:48  | 수정 2020-12-18 06:08
Q. 건조특보 발령 기준?
실효습도 35%이하 지속 예상 때 주의보 발령
실효습도 25%이하 지속 예상 때 경보 발령
실효습도 30% 이하, 불이 날 가능성 커져

Q. 가을철 산불 증가 원인?
가을철 산불 81건, 10년 평균치의 3배
10월 전국 강수량, 평년 대비 5분의 1
12월 주로 발령되던 건조경보, 한 달 빨라져

Q. 산불 피해 증가 추세?
지난해, 산불 피해면적 10년 평균 대비 증가
강원 대형 산불로 재산피해, 이재민 발생
경기, 경북, 강원에 산불피해 집중 돼

Q. 동해안 지역, 대형산불 잦은 이유?
양간지풍 영향, 작은 불씨가 대형산불로 확산
양간지풍, 고온 건조하고 풍속 빨라
수관화에 취약한 소나무류 군락지 많기 때문

Q. 산불 발생 원인?
11~12월 산불 가장 큰 원인, 입산자 실화
추수 시기, 영농부산물 소각 산불로 번지기도
화목보일러 화재, 산불로 번지기도

Q. 산림당국, 산불 예방책?
산불 위험 산지에 대한 입산 강력 통제
산불감시원, 무인감시카메라 투입
초정밀 드론 출동시켜 불법소각 감시

Q 산불 증가 추세?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산불 발생 증가 추세
최근 10년 통계, 강수량 줄고 건조특보 증가
기온상승?건조일수 증가, 산불 발생 위험 증가

Q. 산불 예방 위한 국민행동요령?
산행 전 출입 가능한 등산로 확인해야
성냥, 라이터 등 인화물질 소지 말아야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취사 가능

Q. 산불 발견 시 대응요령?
산림청, 소방서, 경찰서 등 산림관서에 신고
산불 규모 커지면 안전지대로 신속히 대피
위험 처했을 땐 바람 등지고 낮은 자세 유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