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서 빌라 전월세 살던 수요, 매매로 돌아섰나
입력 2020-12-09 10:41 
서울 다세대, 빌라 등이 몰린 지역 [매경DB]

주택 매매가격 상승에 전세난까지 겹친 서울에서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의 전·월세 거래는 줄어든 반면 매매 거래는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월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의 전월세 거래량은 총 1만5762건으로 전달 대비 8.4%(1449건) 감소한 반면 매매 거래는 5326건으로 전달 대비 11.1%(530건)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는 서울 25개구 중 22개구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강북구와 서대문구가 각각 23.5%(110건), 21.3%(105건)으로 20%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고, 이 외에 마포구·서초구·도봉구·영등포구·은평구·동대문구 등도 13% 이상 감소했다.
면적별로 원룸보다는 투·쓰리룸에서 전월세 거래 하락폭이 컸다. 전용면적 30㎡ 이하 원룸 거래가 전달 대비 3.9%(252건)로 소폭 감소한 반면, 전용 60~85㎡, 45~60㎡ 투·쓰리룸의 거래는 전달 대비 각각 15.7%(310건), 13.4%(474건)씩 줄었다.
[자료 = 다방]
거래가 감소하면서 전세보증금은 모든 면적에서 하락했다. 특히 전용 85~100㎡, 100㎡ 이상 투·쓰리룸에서 10% 이상 전세보증금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월세와 달리 매매 거래는 서울 17개구에서 상승하면서 전달 대비 11.1%(530건) 늘었다. 특히 양천구가 66.4%(152건)로 크게 올랐고 ▲영등포구 36.5%(27건) ▲강동구 28.3%(65건) ▲강서구 27.8%(96건) ▲서대문구 25.5%(35건) ▲구로구 25.1%(50건) 등이 20% 이상 상승했다.
다만 매매가는 면적별로 증가와 감소세가 엇갈렸다. 전용 85~100㎡ 투·쓰리룸이 15%(8309만 원)로 가장 크게 올랐고, 전용 30~85㎡에서는 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 이하 원룸 매매가는 전달대비 8%(1793만 원)오르면서 2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다방 관계자는 "빌라를 임대하려던 사람들이 전세난과 패닉바잉(공황구매)등을 겪으면서 비교적 저렴하고 규제에서 자유로운 빌라 매매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원룸보다는 2인 이상이 거주하는 투·쓰리룸 위주로 매매가가 크게 올랐다"고 분석했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