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내년 체육 분야 예산 1조7594억 원 확정
입력 2020-12-08 16:13  | 수정 2020-12-08 16:16
매경닷컴 MK스포츠 박찬형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8일 2021년도 체육 분야 예산이 1조7594억 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 1조6961억 원 대비 634억 원(3.7%) 증액(국민체육진흥기금 기준 1175억 원(8.1%) 증액)된 것이며, 2021년도 문체부 예산 6조8637억 원의 25.6% 규모이다.
내년도 체육 분야 예산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체육계 현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편성했다. ▲금융지원 및 소비 촉진과 연구개발(R&D) 강화로 스포츠산업에 대한 지원 확대 ▲위축된 국민들의 생활체육 참여 촉진 ▲인권이 보장된 환경에서 과학적인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선수들의 훈련환경 개선 ▲체육 분야 국제교류를 통한 한국 스포츠의 위상 강화를 위한 예산 등이 반영됐다.
스포츠산업 분야는 올해 예산 대비 955억 원(44.2%)이 증액된 3117억 원을 편성했다. 비대면·온라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 비대면 스포츠 시장 육성 사업(2021년 39억 원)을 신규로 편성했으며 ▲ 비대면 스포츠 체험 및 관람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 스포츠 분야 연구개발(R&D) 사업을 2배 이상(2020년 78억 원→2021년 177억 원) 증액했다.
코로나 19로 피해를 입은 스포츠산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도 확대했다. ▲스포츠산업 금융지원(2020년 762억 원→2021년 1192억 원) ▲창업·중소·선도기업 지원(2020년 168억 원→2021년 212억 원) ▲체육 소비할인권(2021년 180억 원) 등을 반영했다.
생활체육 분야는 일부 체육시설 건립사업의 종료로 올해 예산 대비 410억 원(4.5%)이 감액된 8727억 원이나 이를 제외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등의 지원은 올해 예산 대비 267억 원(4.2%) 증액된 6658억 원을 편성했다. ▲유·청소년 대상 스포츠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유소년 스포츠기반 구축사업(2021년 40억 원, 신규) ▲소외계층에게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스포츠강좌이용권을 2020년 대비 1만2450명이 늘어난 7만2000명에게 확대 지원(2020년 277억 원→2021년 332억 원) ▲국내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체육활동 강습과 캠프 활동을 지원하는 ‘또바기 체육돌봄 사업(2021년 10억 원, 신규)에 대한 예산을 편성해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생활체육에 대한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그 외에도 ▲국민체육센터의 지속적 확충(2020년 2553억 원→2021년 2694억 원) ▲탁구·야구·당구 종목 승강제리그(디비전)를 2020년 시군구 리그에 이어 2021년에는 시도 리그까지 확대 운영(2020년 108억 원→2021년 128억 원)함으로써 스포츠클럽 기반 생활체육 활동 저변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

전문체육 분야는 올해 예산 대비 58억 원(1.5%)이 증액된 3939억 원을 편성했다.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의 통합 연계 운영 및 생애주기별 이력 관리를 위한 스포츠 정보통신기술(ICT) 통합체계 구축 지원(2021년 30억 원, 신규) ▲코로나19, 기후변화에 대응이 어려운 종목에 대해 가상현실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과학적 비대면 훈련 콘텐츠 제공(2021년 100억 원, 신규) ▲회원종목단체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건비 추가 지원(2020년 308억 원→ 2021년 317억 원) 등 과학적 훈련환경을 구축해 선수들의 경기력을 높이고 선수육성체계 선진화의 초석을 마련한다.
스포츠윤리센터 운영(2020년 23억 원→2021년 53억 원) 및 권역별 지역사무소를 개소(2021년 2억5000만 원, 신규)해 해당 지역에서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상담․조사․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찾아가는 교육과 상담으로 지역체육인의 인권침해 방지와 인권신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스포츠 분야는 올해 예산 대비 36억 원(4.1%)이 증액된 900억 원을 편성했다. ▲2020년 유치된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의 차질 없는 개최 준비(2021년 40억 원, 신규) ▲2022전북아·태마스터스 대회 지원(2021년 11억 원, 신규) 예산을 반영하고 ▲주요 국제경기대회(약 50개 공모 선정)의 안전한 국내 개최 지원을 위한 예산도 확대(2020년 91억 원→2021년 97억 원)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연기된 2020도쿄하계올림픽·패럴림픽에 우리나라 대표선수단이 안전하게 참가해 마음껏 기량을 펼칠 수 있도록 방역지원(9억 원)을 포함, 종목별 특별훈련, 집중관리팀 운영 등을 지원(194억 원)한다. *도쿄올림픽 131억 원, 도쿄패럴림픽 63억 원 (2020년 예산 포함)
태권도원이 ‘태권도 성지임을 알리고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태권도원 수련 시설을 기반으로 ▲발차기·품새 등의 태권도 기술과 마음수련 등으로 구성된 ‘태권스테이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세계태권도연맹(WT) 승인 ‘태권도 국제대회 유치 정례화를 추진(2021년 14억 원, 신규)해 나간다.
장애인 체육 분야는 올해 수준인 911억 원을 편성했다. ▲ 소외 지역에 방문해 체력측정‧스포츠체험 등을 제공하는 ‘장애인 스포츠버스 시범사업(2021년 4억 5천만 원, 신규)을 시작해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기회를 확대 ▲ 2020도쿄패럴림픽 대비 장애인 국가대표의 사기 진작과 경기력 향상을 위해 상시훈련일수(190일→210일)를 늘리고, 그동안 훈련일수에 따라 수당으로 지원하던 지도자 급여체계를 월급제로 전환하는 등 지원을 확대(2020년 119억 원→2021년 146억 원)한다. chanyu2@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