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출바우처사업, 수출실적과 고용창출 높은 성과 올려
입력 2020-12-08 14:28 

핵산추출장비·시약, 분자진단키트 등을 제조하는 바이오기업 A사는 2020년 1차 수출바우처사업에 참여해 7000만원의 바우처를 지원 받았다. A사는 외국어 홈페이지 리뉴얼, 미국·일본·중국·유럽 등 주요국가 지식재산권 등록, 제품포장디자인 개발 등 수출에 필요한 기반을 닦는데 바우처를 활용했다. 이렇게 수출시장 다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한 결과, 올해 수출액은 총 6800만달러로 전년도 300만달러 대비 약 2890%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했고, 고용도 전년 397명에서 올해 540명으로 늘어 약 15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수출바우처사업이 중소기업들의 수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8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수출애로기업의 경영정상화 및 대체수출시장 발굴 등을 위해 수출바우처 본예산 997억원에 추경예산(341억원)을 포함한 약 1339억원을 총 3720개사에 지원했다.
수출바우처사업은 정부지원금과 기업분담금으로 구성된 온라인 포인트 형태의 바우처를 활용해 12가지 수출지원 서비스 메뉴판에서 원하는 서비스와 수행기관(서비스 제공기관)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해외진출 마케팅 지원 사업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전시회가 취소, 연기되거나 입국이 제한되는 등 수출여건이 급격히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바우처 지원기업들의 수출실적 및 고용은 증가했다.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전체 수출중소기업의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 감소하였지만, 수출바우처사업 지원기업은 전년동기대비 수출액이 13.6%증가하여, 같은 기간 전체 중소기업 평균(-3.0%) 대비 16.6%포인트 더 높은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수출실적이 전무했던 내수기업의 41.8%가 수출바우처사업 지원을 통해 신규 수출에 성공하는 등 3년 연속 40% 이상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실적을 달성했다.
수출바우처 지원기업의 신규 고용도 지원 이전보다 6,083명(7.3%)이 늘어나는 등 신규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했다.
중진공 관계자는 "이러한 성과에는 대내외 수출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펼친 덕분"이라고 말했다.
중기부와 중진공은 올해 초 해외전시회가 줄줄이 취소되거나 연기되어 참여기업들이 계획대로 바우처를 활용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자 협약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지침을 개정하고 연장희망 기업 900여개사의 협약기간을 최장 6개월까지 연장해주었다.
또한 ▲코로나19 피해기업 및 감염병 진단 분야 기업 특별모집 실시 ▲코로나19 전용서비스 신설 ▲추경예산 341억원 편성을 통한 지원규모 확대 ▲수출바우처 매칭페어 개최를 통한 수행사와 참여기업 간 서비스 매칭 지원 ▲중국현지 비대면 판매전 개최 등을 적극 추진했다.
김학도 이사장은 "올 한해 중소기업 수출애로 해소와 실적 견인을 위해 관계 부처 및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수출바우처 사업 지원 규모 확대와 연계지원 강화 등 적극행정을 실시했다"면서, "수출바우처 사업의 내실있는 운영을 통해 국가 전체 수출의 약 20%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이 국가경제를 지탱하는 든든한 수출 버팀목 역할을 이어가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