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보다 회사 부도가 더 무서울 지경" 결혼식장 사장님의 호소문
입력 2020-12-08 13:37  | 수정 2020-12-15 14:36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폭증으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 8일 기점 2.5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썰렁해진 결혼식장 안에서는 사장님의 한숨 소리만 들린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 거리두기 격상 등에 타격을 받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을 위한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을 지급했다.
정부는 지난 9월 콜라텍, 유흥주점, 헌팅포차, 감성주점, 뷔페, 300인 이상 대형학원 등 집합금지 업종과 일반음식점, 제과점 등 영업제한 조치가 떨어진 업종 종사자 등 241만 명의 신속 지급 대상자에게 2조4594억 원의 지원금을 줬다.
당시 숙박·음식점업은 10억 원 이하의 매출, 도·소매업은 50억 원 이하의 매출을 내면 소상공인에 해당했다. 또 상시 근로자 수가 광업·제조업·건설업 및 운수업의 경우 10인 미만, 서비스업 등 그 밖의 업종은 5인 미만인 사업장이 지원금을 받았다.

하지만 확진자가 연일 600명 안팎을 기록하는 등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리자 정부는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격상을 중심으로 전국 거리두기를 일괄 상향했다.
이번 조처로 수도권은 모임·활동 진행 인원이 50명 미만으로 제한돼 결혼식장·장례식장 이용객은 50명을 넘을 수 없다.
이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전날 "결혼식장업에 종사하고 있는 관리자"라고 자신을 소개한 국민이 '코로나19 거리두기 2+a, 결혼식장 관리자의 호소문'이라는 청원을 올렸다. 청원인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계신 사회 각 분야의 의료, 보건 관련 종사자분들 희생과 노고에 감사의 말씀을 먼저 드린다"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청원인은 "중대본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결혼식장 관리의 방심이 코로나19 감염 확산의 불씨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방역수칙을 지키며 운영을 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각종 규제는 점점 강화되고 코로나19는 잡히지 않았으며 조금 사그라들 것 같으면 외식쿠폰, 문화활동비 지원과 같은 저희를 더 위협하는 정책들이 나와 누군가에겐 좋은 정책이었을지 몰라도 적어도 저희에겐 재확산의 도화선 같은 불안감에 상대적 박탈감마저 들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확진자 폭증으로 거리두기 격상이 거듭되는 상황에서 재정이 어려워졌지만 QR체크인·출입자명부 확인을 위해 추가 인력을 투입, 뷔페가 고위험시설로 분류된 점을 고려해 메뉴를 전면 개편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청원인은 "회사의 부도 위기가 더 빨리 찾아올 것만 같다. 코로나보다 회사 부도 위기가 찾아오는 것이 두렵다"면서 "정신적인 스트레스까지 이중,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청원인은 "언제까지 저희는 이래야 합니까?"라며 뷔페, 결혼식장, 장례식장 등 업종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작된 8월 3주간 예식서비스 관련 소비자 분쟁은 1481건에 달했다.
해당 청원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1000명이 넘는 인원이 동의한 상태다.
이같은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불안감을 감지한 정부는 이른바 '3차 재난지원금'을 꺼내 들었다.
국회와 정부가 이번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편성한 재난지원금 피해지원 예산은 3조 원에 육박한다. 현재 거론된 3차 재난지원금 대상은 자영업자·소상공인뿐이지만 앞으로 고용취약계층이나 저소득층, 특수고용직 종사자 등으로 확대될 여지도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내년 중 지급 규모·대상·방법 등을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지급 시기는 설 연휴 전이 가장 유력하다.
4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을 준용한다면 이번 3차 재난지원금은 영업금지 업종에 200만 원, 영업제한 업종에는 100만 원 정도가 지급될 예정이다.
[최유빈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