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30평대 빌라` 지어 전세난 해결하겠다지만…
입력 2020-12-02 17:25 
정부가 향후 2년에 걸쳐 '중산층용 신축 빌라'(공공전세) 약 5000가구를 서울에 전세물량으로 공급할 예정이라고 2일 발표했다. 매일경제 분석 결과 정부 측 매입 단가를 맞추려면 30평형대보다는 20평형대 위주로 신축 빌라가 공급될 전망이다. 전반적으로 전세난을 타개하기엔 역부족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소득·자산 요건을 전혀 보지 않고 중산층이 입주 가능한 공공전세 매입 단가가 서울 시내 주택 가격이 높은 지역은 7억원대, 낮은 지역은 4억원대로 결정됐다. 국토부가 건축업자를 대상으로 단가에 맞춰 '약정 매입'(준공 시 정부가 사주겠다)을 맺으면 건설업자가 이에 맞춰 수지타산을 계산하고 일정 품질 이상을 건설하는 구조다. 평균 1가구당 매입 단가가 6억원이고 향후 서울 시내에 5000가구를 공급한다면 총 3조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문제는 단가다. 국토부 기준(서울 핵심지 7억~8억원, 외곽지 4억~5억원)을 맞추려면 면적을 줄일 수밖에 없다. 최근 중랑구 현장에서 만난 한 A빌라업자는 "땅값이 서울 외곽 지역만 해도 3.3㎡당 1000만원 후반대이고, 여기에 건설비(3.3㎡당 500만~600만원)를 더하면 못해도 30평형대는 7억~8억원(서울 외곽 지역 기준)을 받아야 한다"며 "공급 단가 5억~6억원대로 30평형대 공급은 어림도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최근 다녀간 서울 은평구 신축 빌라 전용 57㎡(23평형) 스리룸 매입 단가가 4억원 중후반이었다.
또 '20평형대 이하 방 3개' 빌라 전세는 현재도 매물이 5612가구(2일 현재 네이버부동산 기준)나 있다. 30평형대 이상 방 3개 빌라 전세가 현재 서울 전체적으로 382가구밖에 없어서 희귀한데, 이미 공급이 원활한 빌라 물량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목동 강서고 인근 한 중개업소는 "목동 아파트 전세난으로 밀려난 세입자가 인근 빌라를 찾으려고 해도 대부분 10·20평형대여서 결국은 외곽으로 가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평형대 위주지만 지역에 따라서 30평형대를 공급하는 곳도 있을 것"이라며 "가급적 역세권 위주로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