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곧 폭탄 터진다" 코로나 금융지원 금액 250조원 돌파
입력 2020-11-30 15:24  | 수정 2020-12-07 15:36

신종 코로나 감염바이러스(코로나19)로 정부에서 금융지원을 한 규모가 250조원을 돌파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원금 상환 유예기간이 끝난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실 위험에 경고를 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2월부터 이달 20일까지 금융권에서 코로나19 사태 피해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을 위해 소비한 금융지원 규모가 무려 25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금융지원 내역은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 부분 198조3000억원, 보증 지원 금액 52조7000억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음식점업 43만건, 소매업 38만건, 도매업 29만건 순으로 많았고, 여행·레저업과 숙박업에도 각각 8만건, 3만건의 지원이 있었다.
지원 내역을 보면 정부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에게 낮은 금리로 유동자금을 빌려주는 긴급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000만원 한도로 연 1.5%의 고정금리를 적용하는 1차 대출 프로그램의 집행액은 총 14조7000억원이고, 정부 목표치인 16조4000억원의 90%가 집행됐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대출과 보증 지원도 확대됐다.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중소·중견기업에 우대 대출을 시행하도록 해 지난 3월 16일부터 지금까지 22조6000억원의 대출이 나갔다. 목표금액 21조2000억원을 초과한 수치다.
정부가 초과된 지원금을 쏟아낸 이유는 코로나19로 힘든 경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시급성 때문이다. 즉,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유동자금을 공급해 어려움을 이겨나가려는 목적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코로나19 장기화로 목표로 했던 경기 활성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위와 같은 지원금이 금융권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금융당국 관계자도 "이 터널이 언제 끝날지는 모르겠지만 출구전략도 검토는 하고 있다"며 "부실 위험 없이 연착륙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