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내년 초 입주 공실 공공임대…실수요 끌어들일 수 있나
입력 2020-11-21 11:04  | 수정 2020-11-21 12:37
【 앵커멘트 】
전세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 가운데 가장 빨리 공급되는 것이 공실 공공임대를 전세로 전환하는 물량입니다.
정부는 소득 기준을 없앴기 때문에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3인 이상 가족에게는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통일 기자입니다.


【 기자 】
서울 마곡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269가구가 공공임대인데, 12세대는 현재 비어 있습니다.

정부는 공실 기간이 3개월 이상 계속되면, 전세로 전환해 다음 달 말 모집 절차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 2월 입주시킨다는 계획입니다.

▶ 인터뷰 : 홍남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어제)
- "당면한 전세시장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2021년 상반기까지 초단기 공급물량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3개월 이상 비어 있는 공공임대주택은 전국에 3만 9천 가구로, 서울에만 5천 가구가 있습니다.」

정부는 엄격했던 소득 기준을 없애고 월세가 아니기 때문에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일각에서는 물량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공공임대주택은 면적이 좁아 가족 단위 수요가 적고 3개월 넘게 공실인 이유가 열악한 입지나 노후화된 시설 때문이라면 정책 효과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 상당수는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이어서 일부 입지 좋은 아파트형에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 인터뷰(☎) : 김규정 /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 "상당수는 아파트 형태가 아닌 연립빌라, 다세대 같은 매입형 공공임대이기 때문에 도심 역세권 아파트 전세를 찾는 수요자들은 본인에게 맞지 않은 공급일 거라는 우려를…."

정부가 내놓은 85제곱미터의 중형 임대 대책도 길게는 2025년 입주이기 때문에 당장의 전세 수요를 잡기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MBN뉴스 박통일입니다.

영상취재 : 김영진 기자
영상편집 : 김민지

#MBN #공실공공임대 #전세대책 #박통일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