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레이더P] `정치자금 앵벌이` 논란…그 많은 후원금은 어디에 쓸까
입력 2020-11-20 16:40  | 수정 2020-11-20 18:14

앵벌이 단장을 자칭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후원금 '읍소' 이후 국회의원들이 막대한 자금을 어디에 쓰는지 관심이 쏠린다. 국회의원 행정 보좌진들은 "돈이 이곳 저곳에서 많이 들어오긴 하지만 나가는 것도 만만치 않다"고 입을 모은다.
국회의원이 받을 수 있는 자금은 크게 급여 개념인 세비와, 국회사무처의 지원 경비 그리고 정치후원금으로 나뉜다. 세비는 대략 월마다 900만원 정도가 의원 통장에 찍힌다. 지원경비는 국회사무처에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연간 8974만원가량이 각 의원실로 들어온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후원금의 경우 현행법상 지역구 의원은 최대 3억 원, 비례대표 의원은 1억5000만원까지 모을 수 있다.
계산해보면 대략적으로 의원들은 세비와 후원금을 모두 제외하고도 평균적으로 매달 748만원 이상의 금액을 쓸 수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한 푼 줍쇼" "군자금이 부족해 저랑 의원실 보좌진들이 굶고 있다. 매일 김밥이 지겹다" "염치 없지만 후원금 팍팍 부탁드린다"며 후원금을 호소하고 있다.

입법활동

의원들이 후원금 부족을 호소하는 이유 중 하나는 법안 한건을 만드는 데도 수천만원씩 들때도 있기 때문이다.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균형 있게 담긴 법을 만들기 위해선 토론회를 개최해야 하는데, 한번에 수백만원 정도가 소요된다. 자료집 발간에도 200~5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법안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연구기관에 용역을 맡기면 비용은 천정부지로 솟는다.


지역구 관리

재선을 노리고 있는 의원들에겐 지역구 관리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간다. 지역 주민들에게 끊임없이 존재감을 각인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충청도에 지역구를 둔 한 의원은 "4년 뒤에 깜짝 나타나서 지역구 주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의정활동 보고라도 하면서 꾸준히 문자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지지자들에게 문자 메시지 보내는 비용만 연간 몇 천만원씩 쓰는 의원도 있다. 현수막 등 잡비도 쌓이면 적은 돈이 아니다.
여러 시군구를 함께 묶은 지역구에 당선된 의원들은 더 골치가 아프다. 지역마다 사무실과 직원을 따로 둬야 하기 하는데 많게는 매달 수천만원이 들어가기도 한다.

정치 활동

의원들은 중앙정치 활동을 하면서 서로 다양한 관계를 맺게 된다. 예컨대 중진의원들은 초선의원들의 후원회장을 맡아주기도 한다. 이낙연 당대표의 경우 4·15 총선에서 고민정·홍정민·송재호·문진석·박정·고용진·김병욱·백혜련·정춘숙 등 수많은 의원들의 후원회장으로 나서기도 했다. 한 초선 의원은 "선수가 높아질수록 정치자금도 더 많이 필요해진다"며 "다선의원들은 밥 사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트워크를 쌓기 위한 각종 모임도 많다. 여당의 매머드급 싱크탱크인 민주주의4.0 연구원의 경우 의원들이 여의도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연구인력 고용 등을 위해 1인당 500만원에서 1000만원 정도를 갹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후원금 '앵벌이'에 나서야 할 만큼 국회의원들이 자금 부족으로 허덕일까? 상당수 의원들은 고개를 젓는다. 수도권 의원의 한 보좌진은 "매일 김밥을 먹어야 한다는 것은 조금 과장됐다"며 "부족해도 없는 대로 아껴가면서 의정활동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집에 여유가 있어 세비를 집안 살림에 보탠 적이 없다"면서도 "후원금이 다 안차도 의정활동에 지장은 없다"고 했다.
[최예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