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년간 시세 90%로 사는 '공공 전세 주택' 도입
입력 2020-11-19 19:30  | 수정 2020-11-19 19:41
【 앵커멘트 】
이번에 정부는 '공공 전세 주택'이라는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했습니다.
보통 공적 주택은 월세로 운영되는데, 전세난이 심각하니 이런 주택들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로 내놓겠다는 겁니다.
이어서 장명훈 기자입니다.


【 기자 】
서울 성내동 주택가에 위치한 신축 다세대주택입니다.

마무리 공사가 한창으로 이번 달 준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장명훈 / 기자
- "정부와 매입약정을 맺고 지어진 건물인데, 국토교통부는 이런 물량을 더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보통 공공임대주택은 월세로 공급되지만, '공공 전세 주택'이 도입되면서 전세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 인터뷰 : 김현미 / 국토교통부 장관
- "'공공 전세 주택'을 신규 도입하고, 전세 거주를 희망하는 무주택 실수요자의 특성을 감안, 소득·자산요건을 대폭 완화한 추첨방식을 통해…."

보증금은 주변 시세의 90% 수준으로 책정되고, 최대 6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관건은 매입약정을 통해 확보한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 등이 일반전세 수요를 얼마나 해결할 수 있을지입니다.

정부는 매입 단가를 서울 6억, 수도권 4억으로 올리고 인테리어·주차 편의 시설 등 기존의 임대주택과는 차별화된 고품질 주택을 건설업자에게 요구할 방침입니다.

또,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비어 있는 도심 내 상가·오피스·호텔을 리모델링해 1만 3천 가구를 1~2인 가구에게 전세로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MBN뉴스 장명훈입니다. [ jmh07@mbn.co.kr ]

영상편집 : 김경준

#MBN #MBN종합뉴스 #공공전세 #매입약정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경제뉴스 #장명훈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