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19 신규확진 이틀째 300명대…코로나19 재확산 '비상'
입력 2020-11-19 10:53  | 수정 2020-11-26 11:0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00명대까지 치솟는 등 확진자 증가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신규 확진자 수는 100명 안팎에서 등락을 반복했지만, 최근에는 열흘 넘게 세 자릿수 증가를 이어가면서 200명대로 증가하더니 결국 300명 선도 넘어섰습니다.

정부는 대규모 재유행의 중대 기로라는 판단하에 19일부터 서울과 경기, 광주 전역과 강원 일부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워낙 거세 쉽사리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큽니다.

감염병 전문가들도 지금의 확산세로 볼때 1.5단계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흐름과 맞물려 해외에서 감염된 채 국내로 유입되는 해외유입 확진자 증가세도 심상치 않아 방역당국의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205명→208명→222명→230명→313명→343명…연일 커지는 감염 규모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3명으로, 전날(313명)보다 30명 늘면서 이틀 연속 300명대를 나타냈습니다.

이틀 연속 300명대는 수도권 중심의 2차 유행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말 이후 처음입니다.

신규 확진자 343명은 8월 28일(371명) 이후 83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이기도 합니다.

이달 들어 일별 신규 확진자 수는 124명→97명→75명→118명→125명→145명→89명→143명→126명→100명→146명→143명→191명→205명→208명→222명→230명→313명→343명 등입니다.

이 기간에 단 3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세 자릿수를 기록한 가운데 200명을 넘은 날은 6차례, 300명을 넘은 날은 2차례입니다. 더욱이 최근 며칠간은 확진자 증가 폭이 점차 커지는 형국입니다.

무엇보다 지역사회 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발생' 확진자 증가 추이가 불안합니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코로나19의 유행 확산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이달 11일(113명)부터 9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갔습니다. 최근 사흘간(202명→245명→293명)은 연속으로 200명대를 기록했는데 이날은 300명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습니다.

특히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외에도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소규모 감염 사례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면서 비수도권의 지역발생 확진자가 11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8월 27일(121명) 이후 첫 100명대 기록으로, 그만큼 코로나19가 전국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방증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올해 2∼3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8∼9월 수도권 중심의 2차 유행에 이어 '3차 유행'이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상적 공간을 고리로 한 산발적 감염이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신규 확진자 수는 이미 2차 유행 당시로 되돌아갔습니다. 정점을 찍었던 8월 27일(434명)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그 직후 상황과 비슷합니다.

더욱이 최근 1주일(11.12∼18)간 소규모 집단발병이 하루 평균 10건 정도씩 발생하는 등 점점 다양해지는 감염 고리는 정부의 방역대응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특정 시설이나 집단을 중심으로 대규모 감염이 발생할 경우 '공통분모'가 존재해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역학 조사, 접촉자 차단, 추적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그러나 가족이나 지인모임, 직장, 동아리 등 생활 공간을 고리로 한 '일상 감염'은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물론 추적도 쉽지 않아 확산세를 억제하는 게 쉽지 않은 편입니다.

방대본 관계자는 최근 상황에 대해 "방역당국 입장에서 보면 '전선'이 많이 넓어진 것 같다. 일상생활을 통한 감염 전파가 빈번하게, 그리고 전국에서 발생하고 있어 위험의 문턱에 다가온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소모임→가족·지인·직장으로 'n차 전파'…박능후 "대규모 재확산의 기로에 선 위태로운 상황"

각종 소모임 감염이 가족, 지인, 직장 등으로 'n차 전파'되는 양상을 띠는 것도 위험 요소로 꼽힙니다.

서울 송파구의 한 지인 여행모임 사례의 경우 모임에서 첫 감염이 발생한 뒤 가족, 그리고 경북 영덕군의 한 장례식장 등으로 전파되면서 서울과 경북 등지에서 총 18명이 확진됐습니다.

수도권의 한 온라인 친목 모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달 7일 총 23명이 참석한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감염이 일어난 뒤 가족, 지인 등으로 퍼져 현재까지 총 20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이 밖에도 경기 가구업자 모임(누적 11명), 경기 안산시 수영장(12명), 강원 속초시 요양병원(11명) 등 최근의 신규 집단감염 사례들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현 시점에서 정부는 물론 국민 개개인이 모두 방역에 한층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거리두기 2단계에서는 영업제한 확대 등의 조치로 인해 일상은 물론이고 영세 자영업자 등의 생업에까지 큰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1.5단계가 적용되는 향후 2주동안 지역사회의 유행을 최대한 차단해 확진자 증가세를 꺾어야 한다는 취지에서입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확진자 수가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대규모 재확산의 기로에 선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박 1차장은 이어 서울·경기·광주 등지의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격상된 것을 언급하면서 "지금은 코로나19가 일상 깊숙이 파고들어 그 어디에도 안전지대는 없다. 거리두기 단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앞으로 2주를 집중 방역기간으로 삼아 총력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