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끊이지 않는 전기차 화재 이슈…한국 두각 보이는 배터리 시장 타격받나
입력 2020-11-16 16:33 

화재 발생에 따른 전기차 리콜이 이어지면서 이제 막 개화하기 시작해 고성장이 기대된 전기차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 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재의 원인으로 배터리 결함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해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이차전지 산업 분야의 불확실성이 커졌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화학은 전일 대비 2만8000원(3.97%) 내린 67만7000원에, 삼성SDI는 1만5500원(3.09%) 하락한 48만5500원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차전지 양극재 업체인 엘엔에프(2.35%↓)와 에코프로비엠(1.92%↓), 음극재 업체인 포스코케미칼(1.00%) 등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해외 자동차업체들도 국내 기업의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에서의 화재 발생을 이유로 대규모 리콜을 결정한 영향으로 보인다.
GM은 지난 2017~2019년 생산된 쉐보레 볼트 EV(순수전기차) 6만8600여대를 기록하기로 결정했다. 이 전기차들은 LG화학이 오창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BMW와 포드의 전기차도 리콜이 실시됐다.
앞서 국내에서도 현대차가 지난 10월 LG화학의 배터리가 탑재된 코나 EV 7만7000여대에 대한 대규모 리콜을 결정했다.
전기차 산업의 성장 초기 국면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에 특히 관심이 쏠리면서 업계는 전기차가 위험하다는 인식이 퍼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다만 환경 이슈 등으로 인해 각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전기차 시장 확대를 지원하고 있는 만큼 화재 사고는 새로운 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장통'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실제 전기차 화재 사고의 비율이 내연기관차와 비교해서 높은 수준이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화재 사고의 원인으로 한국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배터리 분야가 의심을 받기도 하지만, 사고 원인 규명은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선 완성차 업체들은 화재 위험을 이유로 실시하는 리콜을 배터리의 전류 등을 관리해주는 BMS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GM은 이를 통해 배터리 충전 비율을 90%로 제한하고 있다.
앞서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을 때와 비슷한 양상이다. 이 때도 명확한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채 배터리업체들이 안전성 강화 방안을 내놓고 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됐다.
화재 원인이 배터리인지를 놓고는 의견이 팽팽히 갈린다. 현대차가 코나EV에 대한 대규모 리콜을 결정한 지난달 국토교통부도 화재의 원인이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셀의 결함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목했다.
그러나 LG화학은 "재연시험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전기차 화재의 원인이 배터리 셀 불량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