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찰, 파견 공무원 2명 압수수색…'원전수사' 청와대 겨누나
입력 2020-11-11 19:19  | 수정 2020-11-11 20:28
【 앵커멘트 】
윤석열 검찰총장이 다녀간 대전지검의 원전수사는 계속해서 하명수사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검찰이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결정 당시 청와대에 파견됐던 공무원 2명을 압수수색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검찰 칼끝이 결국 청와대를 향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정주영 기자입니다.


【 기자 】
월성 1호기의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대전지검은 지난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그런데 압수수색 대상에 2018년 원전 폐쇄 결정 당시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실에 파견돼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산업부 공무원 2명이 포함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압수한 공무원들의 휴대전화를 분석하며 청와대가 원전 폐쇄 결정 과정에 개입한 혐의가 있는지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이 청와대의 의사 결정 라인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보면서, 수사 칼날이 결국 청와대를 향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측근이 수장으로 있는 대전지검을 방문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진 압수수색에 '하명 수사'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검찰총장 (지난달 29일)
- "총장으로서 한번 직접 눈으로 보고 애로사항도 들어보고."

앞서 지난달 20일 감사원은 정부의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 과정에서 경제성이 지나치게 낮게 평가됐다고 발표했습니다.

검찰은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을 규명할 다량의 자료를 감사원으로부터 넘겨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MBN뉴스 정주영입니다. [jaljalaram@mbn.co.kr]

영상편집 : 유수진

#MBN #월성1호기 #대전지검 #정주영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