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1년 공회전 `여의도 大개조`…국회 옮기고 100층 빌딩 짓자
입력 2020-11-11 17:44 
◆ REbuild 서울 ③ ◆
서울 여의도 동쪽과 서쪽은 도저히 같은 지역이라고 하기 어렵다.
수출입은행에서 KBS에 이르는 1㎞ 구간 서여의도는 중심상업지구이면서도 국회 앞이란 이유로 30년 넘게 도시계획법상 미관지구로 묶여 건물을 최고 55m(한강변은 65m), 대략 15층까지만 지을 수 있다.
동여의도는 용지 면적 대비 12배(용적률 1200%)까지 지을 수 있다. 파크원(333m), IFC(283m), 63빌딩(249m) 등 마천루가 즐비하다. 야누스처럼 완전히 다른 두 지역은 22만9539㎡(약 7만평)인 여의도공원으로 단절돼 있다.
여의도가 이런 모습이 된 이유는 50여 년 전 잘못 세운 도시계획 때문이다. 당시 계획에 참여했던 고(故) 손정목 서울시립대 도시행정과 교수는 "미국 워싱턴 사례를 참고해 서여의도에 높이 제한을 걸었는데 업무·상업지구로 계획된 여의도에는 맞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이 계획은 아직도 틀을 깨지 못하고 있다. 2009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할 당시 등장한 여의도 재구조화 마스터플랜조차 동쪽 상업지구를 최고 80층까지 개발한다는 청사진만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여의도 도시구조를 처음부터 다시 들여다볼 시기라고 조언했다. 여의도가 과연 한국 금융 중심지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 개념을 갖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뜻이다. 서울 금융허브지수 순위는 2015년 6위에서 올 9월 25위까지 추락한 상황이다. 최근 여당을 중심으로 국회 일부를 세종시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 여의도 전체 구조를 재검토하기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여의도 상업지역은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으로 추진되면 주거용도 비율을 최대 90%까지 높일 수 있어 만성적인 주택 공급 부족 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시계획학계에선 금융허브 조건으로 '인프라 집적을 위한 공간 구성'을 꼽는다. 정창무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글로벌 금융 중심지 경쟁력은 금융정책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하지만 충분한 업무공간과 지원시설도 필수적인 요소"라며 "지금 여의도는 금융 인프라를 집적해 글로벌 금융회사를 유치하기 위한 장소로선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진단했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