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계속되는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
입력 2020-11-11 11:00  | 수정 2020-11-18 11:06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의 당선 이후에도 홍콩과 대만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중국 때리기를 계속하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9일(현지시간) 홍콩 내 인권 탄압 혐의로 덩중화(鄧中華)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 부주임 등 홍콩 관료 4명을 추가 제재하기로 전했다.
또 미국의 키스 크라크 국무부 경제차관은 오는 20일 대만과 '경제번영 파트너십 대화'를 통해 미국의 대만 지원이 확고하다는 점을 보여줄 계획이다.
크라크 차관은 지난 9월 대만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미국·대만과 중국 간 긴장을 고조시킨 바 있다.

중국은 이러한 미국의 행동에 대해 반발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 10일 베이징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화상 연설에서 '내정 간섭 반대' 입장을 재차 밝혔다.
그는 "우리는 국내 정치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사회 안정을 수호하는 것을 지지해야 한다"며 "외부 세력이 그 어떤 구실로든 회원국들의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의 행위는 홍콩 문제에 대한 간섭이자 중국 내정을 함부로 간섭하는 것"이라며 "잘못된 길을 따라 너무 멀리 가지 않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은 포스트 트럼프 시대에 대비해 우군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 5~10일 중국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국제수입박람회에서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726억2000만달러(한화 81조원) 규모의 구매 의향 계약을 체결해 차이나머니를 내보였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오는 12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중국-아세안 정상회의와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에 참석해 미중 갈등 속 중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지지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11일 베이징 소식통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에서 국지적 무력 충돌 등 중국 압박 카드로 국면 타개를 노릴 수 있어 중국 지도부는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중국 지도부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할 때까지 공식 축하를 자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하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