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내년 전국 집값 0.5% 떨어지고 전셋값 5.0% 오를 것"
입력 2020-11-02 14:53  | 수정 2020-11-09 15:06

내년 전국 집값이 정부의 부동산 규제 영향으로 소폭 하락하겠지만, 전세가격은 올해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도권 주택가격은 0.7% 하락하고, 지방은 0.3% 내릴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다.
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연 '2021년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는 올해 7월까지 수도권 상승률은 13.1%로 집계돼 7월 누적은 물론 연간 누적 기준으로도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라는 집계가 나왔다.
인천은 2008년 8월 이후 139개월만에 전고점을 갱신했고, 7월 누적으로는 12.0% 상승해 지난 2007~2008년 상승장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고 진단했다.
이어 각종 정책 영향으로 6월 이후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됐으며, 정책의 타겟인 갭투자는 10%대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법인 매수보다 매도세가 컸다고 분석했다.

내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5%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치도 내놨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즉시 입주 가능한 주택에 수요자들이 쏠리면서 초기에는 고가 매물이 주목을 받겠지만, 정부에서 강한 매도 압박을 늦추지 않는 만큼 버티기 어려운 지역에서부터 매물이 나오면서 전반적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진단했다.
지방은 수도권의 풍선효과가 지역 중심까지 영향을 미치며 하락선을 저지해 수도권보다 하락 폭은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전셋값 상승 폭은 올해 4.4%보다 더 확대된 5.0%에 이를 전망이라는 추산치를 내놨다. 최근 전세 수요는 꾸준하지만,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임차인 보호조치가 강화되면서 매물 구하기가 어려워진 상태다.
김 부연구위원은 "특히 임차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게 어려워졌다"며 "제도 시행 초기 매물 잠김에 의한 가격 상승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분양시장과 같이 임차시장에서도 공공 임대주택 입주자격 완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월세 임차시장은 실수요 시장인 만큼 수급 불균형에 따른 비효율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확한 대책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임대주택 등 공공물량 증가 영향으로 올해 45만가구(예상치)에서 내년 47만가구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분양(승인)물량은 32만가구 수준으로 전망됐다. 상대적 어려운 임차 시장보다 분양 시장에 대한 선호가 늘고, 지방은 도심 정비사업 위주로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한편 박철한 건산연 부연구원은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올해보다 6.1% 감소한 164조100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추산했다. 공공 발주는 53조6000억원으로 7.4% 증가하지만, 민간 발주가 110조5000억원으로 11.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 부연구원은 "경기회복을 위해 내년도 상반기에 공공공사 부양책을 집중하고, 시장에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확대하는 부동산 규제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아울러 코로나19 등 여파로 전반적인 경기 침체 속에 건설사들은 수익성을 제고하면서 보수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무리한 사업 확장보다는 새로운 혁신 역량을 축적하며 도약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