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은행 대손비용 증가율 아직은 양호…"배당 등 비용 낮춰야"
입력 2020-10-29 14:28 

국내 은행이 대출채권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증가율이 해외 주요 은행의 절반 수준으로 아직은 양호했다. 하지만 정부의 코로나19 지원 조치가 끝나면 한꺼번에 현실화할 수 있는 만큼 배당자제를 포함한 비용절감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권흥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 주요 100대 은행 가운데 투자은행, 특수은행 등을 제외한 70곳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은행 등 국내 은행 6곳의 영업보고서를 분석했다.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주요 은행의 올해 상반기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6억487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평균(16억130만 달러)보다 127.9% 늘었다. 이 중 한국과 비슷한 IFRS 회계기준을 쓰는 국가가 다수 포함된 유럽 소재 은행의 대손충당금은 같은 기간 234.5% 급증했다.
반면 한국은 3억2130만 달러에서 5억30만 달러로, 55.7% 증가에 그쳤다.

IFRS 회계기준에서 대손충당금은 거시 전망 등이 악화해 전반적인 대출채권의 기대 신용손실이 커지거나 연체 등으로 중대한 신용위험이 인식된 경우 손상된 대출채권 비중이 커질 때 늘어난다.
보고서는 국내 은행들이 선제적인 리스크 모니터링과 배당금 지급 자제 등 비용절감으로 자본 완충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권 연구위원은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에 대한 자산건전성 분류 유지, 재난지원금과 고용 유지 지원금 등의 효과로 은행권의 자산건전성이 표면상으로는 악화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가 장기화 하면 내년 3월 대출 만기연장, 이자 상환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잠재부실이 현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국내 은행은 잠재부실 리스크 발현 시 충격에 취약한 여신군에 대해 프리워크아웃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인 대손비용 증가 가능성을 배당금 결정에 적극 반영해 충분한 자본 완충력을 확보해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영상 기자 ifyouar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