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당국 "달러보험은 환테크 상품 아닌 보험" 소비자경보 발령
입력 2020-10-25 15:37  | 수정 2020-11-01 16:04

"달러보험 이자 + 환차익의 이중수익 가능", "달러보험을 활용한 재테크, 10년마다 달러 급상승"

인터넷 보험설계사 블로그 등에 올라온 외화보험 광고입니다. 외화보험을 환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 소개하며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설명은 다릅니다. 금융당국은 "외화보험은 기본적으로 환테크 상품이 아니라 보험 상품"이라며 오늘(25일) 소비자경보(주의 단계)를 발령했습니다.

외화보험이란 보험료의 납입과 보험료의 지급이 모두 외국통화로 이뤄지는 상품입니다. 현재 10개 보험사에서 21종의 달러·위안화보험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길어지고 환율 상승에 대한 기대감과 보험사의 신규 수익원 창출 전략 등과 맞물려 외화보험 판매액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2017년 3천230억 원이었던 외화보험 수입보험료는 작년 9천690억 원으로 3배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올 상반기에만 7천575억 원으로 작년 한 해 판매액의 78%에 달합니다.

금융당국 설명에 따르면 외화보험은 보험료와 보험금이 외화로 거래된다는 점을 빼면 일반 보험상품과 성격이 같습니다.

외화보험은 보험금 지급 시점이 특정돼 있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환율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방법이 없고, 해지할 때 돌려받는 금액이 원금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환율과 해외금리 변동도 변수입니다.

보험기간 환율이 오른다면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이 커지고, 보험금을 받는 시점에 환율이 하락했다면 보험금의 원화 가치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해외금리에 따라서도 만기 보험금에 차이가 생깁니다. 금리연동형 외화보험 상품은 투자대상 해외채권의 수익률을 반영해 적립이율이 주기적으로 달라집니다.

보험기간이 5년, 10년 등 장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지급되는 만기보험금이 현재 예상 수준보다 감소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고객은 외화보험의 특성과 위험요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 '지정인 알림 서비스 제도' 등을 활용해 외화보험이 가입자에게 적합한 상품인지 판단하는 게 좋습니다.

금융당국은 외화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를 대상으로 현장검사 등 점검을 강화하고 위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엄중히 제재한다는 방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