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강남·강동 보합세 합류…강남4구 아파트값 9주 연속 보합
입력 2020-10-08 14:29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 전경 [이미연 기자]

7.10대책과 8.4 대책 등 정부의 시장 안정화 정책과 코로나발 경기위축 우려 등으로 서울 강남 아파트 매매가격이 눈치보기 장세로 돌입한 모양새다. 추석연휴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줄면서 관망세가 짙어진 가운데 그동안 상승세를 보였던 강남구와 강동구(0.00%)가 이번주 보합 전환되며 강남4구 전체로는 9주 연속 보합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저가 단지와 교통환경이 양호한 역세권 단지 위주로 서울 전세가격은 여전히 오르고 있다. 정부도 전세가격 상승세가 쉽사리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추가 대책을 모색할 전망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국정감사에서 전세가격 관련 질의에 "단기적으로 많이 올라와 있는 상황이고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 같다"며 "(대책 후) 2개월 정도면 어느 정도 효과가 나지 않을까 했는데 안정화되지 못해 안타깝다"면서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답변했다.
이날 한국감정원의 10월 1주(10월 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기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각각 0.08%, 0.1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추석 연휴 등으로 거래활동 감소한 가운데 강남4구의 경우 고가단지 위주로 관망세가 짙어지며 보합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그 외 지역은 중저가 단지나 역세권 소형 평형 위주로 상승하며 서울 전체적으로는 전주 상승폭(0.01%)을 유지했다.
강남 4구에서 최근 몇 주간 0.01%의 상승폭을 유지했던 강남·강동구(0.00%)도 보합 전환했다. 강서구(0.02%)는 화곡·내발산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관악구(0.02%)는 봉천동 대단지 위주로, 구로구(0.01%)는 개봉동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영등포구(0.00%)는 높아진 호가와 긴 연휴에 매수문의가 줄면서 보합 전환했다.
강북에서 중랑구(0.02%)와 노원구(0.02%), 은평구(0.02%), 광진구(0.02%)는 상승했으나, 도봉구(0.00%)는 보합 전환했다.
전주 0.06% 올랐던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주 0.05% 상승에 그쳤고, 경기도 전주 0.10%에서 이번주 0.09%로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
지방의 경우 대전(0.24%)과 울산(0.22%), 대구(0.20%)가 0.2%대 상승률을 보였으나 전주보다 상승폭이 축소됐으며, 전주 0.42% 올랐던 세종도 이번주 0.39%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약간 줄었다.
[자료 = 한국감정원]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39%), 울산(0.43%), 대전(0.25%), 강원(0.20%), 충북(0.20%), 경기(0.17%), 충남(0.14%), 인천(0.13%), 부산(0.13%) 등은 상승, 제주(0.00%)는 전주에 이어 보합을 유지했다.
지난 주 0.09% 올랐던 서울 전세가격은 추석연휴로 거래활동이 줄면서 이번주 0.08%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동구(0.10%), 강남구(0.09%), 송파구(0.08%), 서초구(0.07%)는 거래 감소로 상승폭이 줄었고, 동작구(0.09%)와 양천구(0.07%), 구로구(0.06%)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에서는 노원구(0.12%)만 0.1%대로 상승했고 그 뒤를 성북구(0.09%), 마포구(0.08%), 용산구(0.08%), 은평구(0.07%) 등이 이었지만 상승폭이 0%대로 내려갔다.
수도권에서 인천은 0.13%, 경기는 0.17% 각각 올랐다. 특히 광명시(0.38%), 수원 권선구(0.30%), 안산시 단원구(0.29%), 남양주·의정부시(0.28%) 등이 0.2%대가 넘는 상승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세종과 울산의 상승세가 여전했지만 상승폭이 줄어드는 모양새다. 지난주 1.43% 올랐던 세종은 전세매물 부족현상이 지속되면서 이번주 1.39% 올랐다. 남구와 북구, 동구가 골고루 오른 울산은 이번 주 0.4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