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60대 이상 위험성 상기…추석 접촉 최소화해달라"
입력 2020-09-29 12:16  | 수정 2020-10-06 13:04

정부는 이번 추석 연휴(9.30∼10.4)가 올 가을·겨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유행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29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백브리핑에서 "추석 연휴 기간 이동이 많아지고 밀집 가능성이 높아지는 위험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서 가을·겨울철 재유행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습니다.

강 차관은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유행, 이른바 '트윈데믹'을 막기 위해 정부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남반구의 상황과 현재까지 우리나라 상황을 보면 전만큼 독감이 유행하지는 않을 것 같다"면서도 "코로나19와 독감을 구분해서 진료할 수 있도록 하고 트윈데믹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현장 진료 수칙이나 지침을 중앙방역대책본부 통해 마련하고 호흡기 클리닉도 빨리 준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강 차관은 추석 연휴 기간 방역 수칙을 지켜 달라고 거듭 당부했습니다.

강 차관은 "추석에 고향을 방문하게 되면 어르신들이나 가족들이 모인다. 60대 이상의 (코로나19에 대한) 위험도를 본다면 가급적이면 그런 접촉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가더라도 대중교통이나 휴게소를 이용할 때 핵심 방역수칙인 마스크를 제대로 쓰고 거리두기를 통해 접촉의 밀집도를 낮춰야 한다"며 "이런 수칙을 꼭 기억해서 이번 추석에 조금이라도 확산에 계기가 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이날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는 50명 미만으로 내려왔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추석 연휴를 앞둔 만큼 섣부른 낙관을 경계하는 모습입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반적 감소 추세가 추석까지 계속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난 5월 연휴와 8월 연휴 직전 확진자가 상당히 감소했지만, 연휴를 거치면서 이동량이 증가하고 방심하게 돼 연휴 며칠 이후에 다시 확진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반복적으로 경험했다"고 상기했습니다.

그는 "추석 기간 특별방역기간을 설정한 것도 과거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추석 특별방역기간 이후에 상황 위험도를 평가해 그 이후의 거리두기 단계를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추석) 특별방역기간은 오는 11일까지만 적용되기 때문에 그 주쯤에 여러 상황을 평가해 생활방역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이후 방역 방식에 대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